비트코인 구조화 노트 출시한 JP모건…최대 보유 기업과 정면충돌

| 민태윤 기자

비트코인(BTC) 커뮤니티와 코퍼레이트 보유량 기준 최대 규모의 BTC 보유 회사인 스트레티지(Strategy) 지지자들이 JP모건의 신상품 출시를 비판하며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한 구조화 노트를 선보인 JP모건이 자산 보유 기업들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문제가 된 상품은 ‘비트코인 연계 레버리지 노트’로, BTC 가격 변동을 1.5배 규모로 추종하는 고위험 투자 상품이다. 투자자는 수익뿐 아니라 손실도 1.5배까지 확대되며, 만기일은 2028년 12월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문서에 따르면 해당 상품은 2025년 12월부터 출시될 예정이다.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반응은 즉각적이고 비판적이다. 많은 이용자들이 “JP모건이 이제 사실상 비트코인 재무전략 기업들의 직접적인 경쟁자가 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스트레티지 같은 보유 기업을 깎아내리고 자사 구조화 금융 상품을 키우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한 이용자는 “JP모건이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을 사고 보유한 회사 대신, 구조화 상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하라고 부추기고 있다”며 “이는 암묵적인 공포와 불확실성 조성 전략”이라고 꼬집었다.

JP모건은 그간 암호화폐에 비교적 회의적인 입장을 취해온 대형 투자은행으로, 이번 상품 출시는 시장 내 입장 선회를 시장에 암시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하지만 비트코인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금융적 편향성과 비트코인 생태계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향후 JP모건과 스트레티지 같은 코퍼레이트 현물 BTC 보유자 간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재무전략 간 균열이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JP모건의 비트코인 연계 상품 출시는 전통 금융이 BTC에 다시 눈을 돌리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동시에 현물 보유 기업과의 경쟁 구도가 불가피함을 드러낸다.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는 방식과 구조화 상품을 통한 간접 접근 방식 사이에서 투자 판단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 전략 포인트

- ‘BTC 구조화 상품 출시 = 보유 기업 경계’ 시각 등장

- 고위험 레버리지 구조는 자금 유입보다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

- 스트레티지 등 BTC 보유 기업들에 대한 시장 신뢰 여부가 향후 관건

📘 용어정리

- 스트레티지(Strategy): 전 마이크로스트레티지로, 현재 세계 최대 규모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

- 구조화 노트(Structured Note): 특정 자산의 성과와 연동된 고정 수익 증권. 수익과 손실이 복합적 구조로 결정됨

- 레버리지 상품: 기초 자산의 수익률을 일정 배수로 확대하는 투자 상품. 손실 가능성 역시 확대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