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자율주행 기술개발에 2천억 확대 지원

| 토큰포스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자율주행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자율주행 기술개발에 283억 원을 추가해 2027년까지 총 2000억 원 규모로 확대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작년에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을 본격 시작하여 2027년까지 Level4 이상의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1700억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는 자율주행차량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데이터·통신 보안성 평가기술, 안정적인 통신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과부하 방지 기술 등 2개 과제와 초고속·초저지연·고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차량통신(5G-NR-V2X)기술 확보를 위해 ▲커넥티드 자율주행을 위한 5G-NR-V2X 성능검증, ▲레벨4 이상 자율주행 서비스 지원을 위한 5G-NR-V2X 통신기술 등 2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군집주행, 원격주행 등 한층 고도화된 자율주행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며,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실증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나라가 글로벌 자율주행 차량통신 기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 5G-NR-V2X 통신기술개발 기대효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한 과기정통부는 국토부와 함께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통신 방식의 단일 표준화를 위해 공동 실증·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부처 합의에 따라 올해는 LTE-V2X 기능에 대한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며, 내년 고속도로에서 두 통신방식(LTE-V2X·WAVE)을 병행하는 시범사업을 거쳐, 2024년 이후 단일 표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글로벌 자율주행 3대 기술강국 진입을 위해 자율주행의 핵심인 AI, 차량통신 등 ICT 융합기술 확보에 힘쓰고, 인프라 마련에도 관계부처와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