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디지털 농업 10대 과제 추진

| 토큰포스트 기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한데 모은 디지털 기술이 농업분야에 활용되어 농업생산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디지털 농업을 조기에 농업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 10대 핵심 추진과제를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농진청은 지난해 3월에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학영농을 실현해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농업 촉진 기본계획’을 발표해 추진하고 있다.

농진청이 디지털 농업을 선도하기 위해 선정한 10대 핵심과제는 ▲스마트팜 최적환경제어 시스템 고도화 ▲노지 정밀농업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농기계·농업용 로봇 개발·상용화 ▲농업기상 예보 및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확대 ▲인공지능 병해충 진단 서비스 보급 ▲가축관리 및 질병 조기탐지 서비스 실용화 ▲디지털 육종시스템 구축 ▲데이터 기반 농업경영 진단 서비스 구현 ▲디지털기반 농촌공간 재생 모델 개발 ▲농업기술 안내 챗봇 서비스 개발 등 이다.

농진청은 10대 핵심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자율주행 ▲드론·위성 ▲메타버스·디지털 트윈 등이 필요하다는 구상이다.

빅데이터 분야는 데이터 수집과 개방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농진청은 토양정보 등 219개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올해는 과수 생육품질 데이터 등 21개를 추가해 총 240개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할 계획이다.

연구 과정 중에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도 공유·개방해 데이터 연구를 활성화 한다. 올해 슈퍼컴퓨터를 추가 도입해 빅데이터 분석기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인공지능 분야는 데이터 활용과 저변확대를 추진한다. 작물재배, 병해충, 농업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인공지능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전문기업과의 협력도 추진한다.

농진청이 개방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농사짓기 경진대회도 개최한다. 로봇·자율주행 분야는 농업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드론·위성 분야는 농작업에 드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농업 생산성의 혁신적 개선을 위해 농업 전 분야에 걸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을 판독해 작물의 생육상황 진단 및 수확량 예측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트랙터와 같은 지상 농기계와 연계해 정밀한 농작업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또한 2025년에 발사 예정인 농업용 중형위성 탑재체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농업용 위성 발사에 맞춰 위성영상을 활용한 국내·외 작황 진단 기술도 개발중이다.

이밖에 메타버스·디지털 트윈 분야는 농업에 적용 가능한 소재를 적극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 현실 세계 스마트팜 농장의 데이터를 이용해 3차원 가상공간에서 토마토를 재배해 볼 수 있는 스마트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있다.

농진청은 10대 핵심과제 등 디지털농업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위해 올해에 878억을 투자할 계획이다.

박병홍 농촌진흥청장은 “농업분야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도입해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고, 많은 청년농업인이 정착하는 농촌을 구현하는데 농촌진흥청이 앞장서겠다”며 “디지털 농업기술 개발 및 서비스 확충을 위해 관련분야 우수한 연구인력 양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고문의기사제보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