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자치구‧기업‧시민과 함께 안전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첨단 ICT기술로 해결하는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대상 자치구로 관악구를 최종 선정했다. 2년 간(2022년~2023년) 총 13억5000만원(시비 10억, 구비 3억5000만원)을 투입해 미래 스마트시티 기술을 시민 생활 현장에서 실증하게 된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관악구 관내 어린이집 15곳에 ‘비콘’(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을 활용해 아동의 실종을 예방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야외활동을 하거나 견학을 갈 때 아동에게 비콘을 부착하면, 실종 상황이 발생했을 때 아동의 위치가 자치구 관제센터에 자동 전송되고 주변 CCTV 화면이 표출돼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국 최초로 ‘도심형 자율주행 순찰로봇’이 시범운영 예정이다. 늦은 밤 어두운 귀갓길을 순찰하고 위험상황을 감지하면 로봇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자치구 관제센터로 현장 상황화면을 전송해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실증운영을 실시하여 범죄예방에 활용할 계획이다.
사진 = 스마트시티 서비스 사업내용 / 서울특별시
관악구는 ‘복지’와 ‘안전’ 분야의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경로당 ▲비콘 활용 스마트지킴이 ▲자율주행 로봇 순찰서비스 3개 분야의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추진한다.
시는 스마트서비스 기술검토 및 시범서비스 성과 확산을 지원하고 관악구는 시민·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실제 사업을 추진하고 관리한다.
스마트 경로당 서비스는 관내 경로당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체온, 맥박, 혈당 등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병원진료시 참고자료로 활용해 어르신들의 건강을 관리한다. 또 키오스크로 기차표 예매하기, 음식 주문하기 등을 배워볼 수 있는 ‘디지털 체험존’도 조성된다.
비콘활용 스마트 지킴이는 어린이집에서 야외활동시 아동에게 비콘을 부착해 위험상황시 위치정보를 통해 신속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실종 상황시 비콘 센서에 실종 아동의 비콘이 감지되면 해당 위치를 CCTV 관제센터에 전송해 근처 CCTV 화면을 자동으로 표출하게 된다.
자율주행 로봇 순찰서비스는 전국 최초로 도심형 자율주행 로봇(방범용) 2대를 투입해 야간시간대 귀갓길과 골목길을 순찰하고, 위험요소를 감지해 영상‧사진 등 데이터를 관제센터에 전송한다.
관악구는 각 사업별로 공무원·사회복지사 및 어린이집 교사 등 관계자와 서비스 수요자인 시민으로 구성된 ‘리빙랩’을 통해 시민 스스로 서비스를 제안하고 체험하며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앞서 서울시는 2019년 성동구와 양천구를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특구로 지정하고, 3년 간(2019~2021년) 60억원(시비 30억, 구비 30억)을 투입해 ‘스마트 횡단보도’, ‘맞춤형 스마트 보안등’ 등 창의적이고 시민 만족도 높은 스마트서비스를 구축 완료한 바 있다.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서울시는 기존 공공기관 주도형 스마트시티 사업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일상에서 필요로 하는 민간의 신기술과 서비스가 상용화될 수 있도록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시민 스스로 서비스를 제안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체감형 스마트시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복잡다양해지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