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145% 대중 관세, '영구조치 아냐' 발언에 시장 술렁

| 김민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초고율 관세가 무역전쟁의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르면서, 미국 경제 전반에 부담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는 최근 인터뷰에서 현재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가 *영구적 조치가 아님*을 시사하며 시장 기대를 자극했지만, 협상 테이블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NBC '밋 더 프레스(Meet the Press)'에 출연한 트럼프 대통령은 "언젠가는 이들 관세를 낮출 것"이라며 "그들과 비즈니스를 못 하면 의미가 없다. 중국 측도 거래를 매우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미·중 간 무역 합의에 대한 금융시장의 기대심리를 자극했지만, 협상이 실제로 이뤄질 조짐은 미미한 상황이다.

현실에서는 관세 여파가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에 의존하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 한 농림업계 관계자는 "중국 외 다른 나라에서 수입할 여력이 없는 영세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의류업체 관계자는 "매주 달라지는 원가 구조에 대응키 위해 직접 중국 공급업체를 찾아가 가격 협상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실물 지표에도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5월 1일 기준 중국을 떠나는 미국행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월 대비 35.1% 급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관세발효 직전 밀어내기 수입 물량이 급증한 반작용으로 해석되지만, 앞으로의 교역 둔화를 예고하는 신호로도 읽힌다.

무역전쟁이 격화될수록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관세 인상이 소비재 가격에 전이되면 미국 소비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지난 몇 달간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던 물가가 다시 불안정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무역에 적극적인 만큼 협상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자신감을 피력했지만, 정작 구체적인 협상 일정이나 논의 틀에 대한 언급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치적 계산과 경제적 현실 사이에서 이 내홍이 얼마나 길어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가운데, 미·중 관계는 다시 중요한 기로에 놓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