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사우디와 '1조 달러 투자 협약' 강조…美 기술·방산업계 대박 예고

| 김민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된 미-사우디 투자 포럼에 참석해 총 1조 달러(약 1,440조 원) 규모에 달하는 양국 간 투자 협약을 강조하며 눈길을 끌었다. 백악관이 공식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날 실질적으로는 약 2,688억 달러(약 387조 원) 상당의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파악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그외 다수의 비공개 협약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6,000억 달러를 넘는다”고 주장했다.

리야드에서 개최된 이번 회의는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경제 협력을 한층 강화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서, 트럼프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직접 회담에 나서 상징성을 더했다. 트럼프는 자신이 협상의 중심에 있다고 자평하며, 외국 자본 유치가 자신의 주요 경제 정책임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Elon Musk),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Jeff Bezos) 등 미국을 대표하는 ‘초대형 CEO’들이 대거 참석해 파장을 키웠다.

이번 계약에는 사우디가 미 군수 기업들로부터 1,420억 달러(약 204조 원) 규모의 *방산 장비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내용이 핵심인데, 이는 미국의 방위 산업계에 대한 대규모 수혜로 직결될 전망이다. 여기에 사우디의 데이터 센터 기업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디지털 인프라에 200억 달러(약 28조 8,000억 원)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구글을 비롯한 오라클, 세일즈포스, AMD, 우버 등 미국의 기술 대기업들과 공동으로 양국 간 800억 달러(약 115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또한 미시간 주에는 사우디 헬스케어 기업 샤멕 IV 솔루션즈가 58억 달러(약 8조 3,000억 원)를 들여 의료용 수액제 공장을 세우기로 했고, GE 버노바로부터는 142억 달러(약 20조 4,000억 원) 규모의 가스터빈이, 보잉으로부터는 48억 달러(약 6조 9,000억 원) 규모의 항공기가 각각 사우디에 공급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현장에서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과 신뢰의 표시”라고 역설하며 “우리는 사상 최대 규모의 외국인 직접 투자를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가 발표한 ‘1조 달러 협상금액’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전략산업 중심의 투자 유치 성과만큼은 실질적인 파급력을 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번 협정이 단기적 수치 외에도 장기적인 기술 협력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을지, 향후 이행 상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