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금리 인하에 '신중 모드'…트럼프 관세에 불확실성 증대

| 김민준 기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최근 완화된 물가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장에 미칠 영향을 감안할 때, 당분간 통화 정책의 변화는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발표된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기대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준 내에서 여전히 *인플레이션 경계심*이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제퍼슨 부의장은 5월 1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한 경제 콘퍼런스에서 “최근 발표된 관세가 유지된다면,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이 지체되거나 일시적인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세가 장기적인 가격 압박으로 이어질지는 무역 정책의 구체적 실행 방식, 소비자 가격으로의 전가 정도, 공급망 반응, 경기 흐름 등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일부 수입세를 철회하기로 중국 정부와 합의한 직후에 나왔다. 양국의 관세 완화 소식에 금융 시장은 호재로 반응했고, 미국 주요 지수는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또한 미국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는 예상보다 낮은 상승폭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가 커졌다.

그러나 연준은 여전히 관망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일자리와 물가에 미칠 잠재적 충격을 고려할 때, 성급히 금리를 낮추는 것은 부작용을 부를 수 있다는 판단이다. 연준은 *이중책무*에 따라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이 목표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해 면밀히 분석 중이다.

한편, 작년 말부터 연준은 고점이던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하하며 경기 부양에 나섰지만, 올해 들어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다시 불확실성을 높이며 금리 동결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연준 내부에서는 금리 인하가 *경기 침체 방지*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동시에 다시금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위험 요소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서로 충돌하는 목표 사이의 균형을 고민하고 있다.

제퍼슨 부의장은 “우리의 통화 정책은 현재의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경제의 잠재적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며 “연준이 당장의 인플레이션 수치에만 반응하기보다는, 앞으로 펼쳐질 경제 전반의 흐름에 보다 중점을 두고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연준의 금리 결정이 단견적인 수치보다는 장기적이고 복합적인 경제전망을 바탕으로 이뤄질 것이란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