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의 경기 심리가 5개월 연속 하락하며 침체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단행한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 유예 조치가 뚜렷한 회복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에 따르면, 5월 잠정치는 50.8로 집계되며 해당 지표가 도입된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고, 중국과의 무역 협상을 타결한 이후에도 소비자의 경제 신뢰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향후 1년간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7.3%에 달했다는 점이다. 이는 지난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시장에서는 무역 관련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된 만큼 소비 심리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현실은 정반대였다. 여전히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소비자의 체감 경제에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9일 일부 보복 관세를 유예한 시점 이후를 반영하고 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완화 합의가 발표된 5월 12일 이후 이틀 분량의 데이터만 포함하고 있어, 향후 발표될 최종 수치에서 추가 변화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조앤 수 미시간대 소비자조사 책임자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일부가 줄어들자 경기 낙관론이 일부 개선된 측면은 있지만, 그 변화가 충분치 않아 전반적인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많은 소비자들은 미국 경제의 방향성과 생활비 부담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고용과 소득 감소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소비 위축이 경기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네이비 페더럴 크레딧 유니언의 로버트 프릭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자가 느끼는 경제 불안이 실물 지표에 반영되지 않고 있지만, 향후 노동시장이나 소득 흐름이 꺾일 경우 경기 침체로의 전환은 순식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 심리는 경제 회복의 중요한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현재로서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완화가 소비 심리를 반등시킬 만큼 충분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