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또 관세 연기… '해방의 날' 8월 1일도 불투명

| 김민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도입 시점을 또 한 차례 연기했다. 본래 이중 자릿수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었던 국가별 수입관세는 새로운 발효일로 8월 1일이 명시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 날짜조차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한 발 물러선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같은 날 SNS에서는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정반대의 메시지를 남겨 정책 일관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이번 관세 부과는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발표한 정책으로, 미국 내 제조업 유치를 촉진하고 재정 수입을 늘리는 한편 교역 상대국과의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됐다. 당초 7월 9일 시행 예정이었으나 일단 유예됐고, 이번이 두 번째 연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관세 조치가 미국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고, 교역 위축을 통해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백악관은 주요 교역국들과 협상을 이어가며 관세 적용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으로는 이미 별도의 수입세를 부과하는 조치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외제차 대부분에 적용되는 25%의 고율 관세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50%, 그리고 다수 해외제품에 부과되는 10%의 추가 관세가 있다.

이번 관세 정책의 반복된 연기와 혼선은 시장과 기업들로 하여금 *불확실성*을 한층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산업군에서는 전방위적인 공급망 점검과 대응 전략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연기가 마지막일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8월 1일로 예정된 새로운 관세 시행 여부가 글로벌 시장의 반응과 미국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