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로 38조 걷고 예산 흑자… 트럼프 정책 실효 보였다

| 김민준 기자

미국 정부가 지난 6월 기록적인 관세 수입 덕분에 예산 흑자를 달성했다. 소비자에겐 추가 부담이지만, 재정 측면에서는 이례적으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미 재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 정부는 총 266억 달러(약 38조 3,000억 원)의 관세 수입을 거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4배 늘어난 수치이며, 전월의 222억 달러(약 32조 원)보다도 증가했다. 급증한 관세 수입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강화가 본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관세 수입 증가와 함께 정부 지출도 크게 줄었다. 6월 한 달 동안 재정 지출은 약 1,870억 달러(약 269조 원)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약 270억 달러(약 38조 8,000억 원)의 재정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수년간 보기 힘든 수준의 흑자다.

이번 재정 개선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정부 효율화 정책도 힘을 보탰다. 정부조직효율국(DOGE)의 주도로 부처별 비용 절감과 연방 인력 구조조정이 추진되면서 지출 절감이 가능했다는 평가다.

다만, 이런 일시적 흑자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 재정 상황이 근본적으로 개선됐다고 볼 수는 없다. 2025 회계연도 기준 미국의 누적 재정 적자 규모는 약 1조 3,000억 달러(약 1,872조 원)에 이른다. 미 연방 정부가 떠안고 있는 전체 국채 규모는 약 36조 달러(약 5,184조 원)에 달하며, 이자의 형태로만 6월에 840억 달러(약 121조 원)를 지출했다.

미 의회예산처(CBO)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통과시킨 ‘큰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에 따른 감세 정책이 지속되려면 관세 수입 증가가 유지돼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다시 말해, 관세 정책이 세수 확대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재정 흑자는 세금 부담 경감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국채 이자 부담을 줄여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국채 수익률이 낮아지면 모기지부터 학자금까지 다양한 소비자 대출 금리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현재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약 4.4% 수준이며, 이는 시장 금리 형성을 좌우하는 핵심 지표로 여겨진다.

이번 관세 수입 증대로 인한 예산 흑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 전략이 일부 성과를 거뒀음을 보여주지만, 구조적인 적자 문제 해결에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정책 지속성과 세계 무역 흐름 변화가 향후 세수 추이를 결정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