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사임설 확산…트럼프, 기준금리 1.25% 인하 압박

| 손정환 기자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이 35억 달러(약 4조 8,650억 원)에 달하는 본부 리노베이션 예산 논란 속에서 사임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미국 금융계가 긴장하고 있다. 이 같은 압박은 오는 7월 FOMC 회의를 앞둔 상황에서 더욱 확산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까지 나서 금리 인하를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공화당 일부 상원의원들이 파월 의장 재임 기간 벌어진 초유의 재정 적자와 예산 초과 문제를 지적하며 그의 리더십을 정면 비판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기준금리를 1.25%까지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금리는 4.25~4.5% 수준이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트럼프는 지난 6월 자신의 연설에서 파월 의장을 거칠게 비난하며 강력한 완화 정책을 거듭 요구했다.

해당 본부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당초 예상보다 약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가량 초과된 35억 달러로 불어났다. 이에 대해 공화당의 팀 스콧 상원의원은 이를 "베르사유 궁전 수준의 낭비"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고, 예산 감시 전문가 러스 보우트 역시 파월 의장의 예산 운영을 "총체적 실패"라고 표현했다.

이런 가운데 윌리엄 펄티 미국 연방주택금융청(FHFA) 국장은 파월 의장의 사임 가능성에 대해 “미국 경제에 긍정적 효과가 될 것”이라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 유명 재무 평론가 피터 시프 또한 후임자가 파월보다 금리 인하에 적극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달러화 약세와 금값 상승, 인플레이션 자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준은 아직 공식 회신을 하지 않았으나, 파월 의장은 과거 발언에서 임기(2026년 5월까지)를 완수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미 대법원 판결로 인해 대통령이 연준 의장을 임의로 해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나와, 파월 본인의 결정 외에는 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7월 29~30일 예정돼 있으며, 시카고상품거래소(CME) FedWatch에 따르면 현재 금리 동결 가능성은 93%로 관측된다. 하지만 정치·예산 문제로 불거진 논란이 향후 통화정책과 금융시장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