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월 물가 2.7%↑… 트럼프 관세 정책, 소비자 지갑 압박 본격화

| 김민준 기자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7% 오르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 관세 정책이 소비자 가격 상승을 자극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물가 상승은 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투자자들의 금리 인하 기대도 꺾고 있는 상황이다.

미 노동부는 16일(현지시간) 발표를 통해 6월 CPI가 전년 대비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5월의 2.4%에 비해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다우존스와 월스트리트저널이 조사한 전문가 예상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2.9% 오르며 시장 예상치인 3.0%에는 소폭 못 미쳤지만 전월 대비로는 상승한 수치다.

물가 상승을 부추긴 주요 요인은 중동 지역의 전쟁 여파로 인한 유가 급등이다. 여기에 전기요금, 식료품, 의류, 의료비용까지 줄줄이 오르며 일상생활에 부담을 더했다. 반면 신차 및 중고차 가격은 하락해 근원물가 상승세를 다소 억제했다. 하지만 자동차 가격 하락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행한 25% 수준의 수입차 관세의 영향을 충분히 받지 않은 것으로, 향후 가격이 다시 오를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품 관세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생활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고 지적한다. 헤더 롱 네이비연방신용조합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관세의 충격이 이제 소비자에게 체감되기 시작했다”며 “커피, 과일, 가전제품, 생활용품 등에서 가격 인상을 체감할 수 있으며 자동차와 트럭까지 가격이 오를 일만 남았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물가 흐름은 연방준비제도(Fed)가 올 여름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소비자 물가의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었지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촉발한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정책 결정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보호무역 중심의 경제 정책은 단기 수입 감소 효과는 거두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소비자의 지갑을 압박하는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도 커지고 있다. 물가 상승, 관세의 소비자 전가, 그리고 금리 정책 사이의 복잡한 함수가 본격적인 긴장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