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금 관세 없다 선언…시장의 불안 진화 나섰다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국 세관이 일부 금괴를 관세 대상에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이 동요하자, 직접 진화에 나선 것이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1일(현지시간)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인 트루스소셜에 남긴 성명을 통해 나왔다. 그는 성명에서 “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최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1kg 및 100온스(약 3.1킬로그램) 금괴를 수입 시 관세 부과 대상 품목으로 분류한 데 대한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기도 하다.

해당 논란은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가 지난 8일 미국 CBP의 지난달 31일자 통관 결정서를 인용 보도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 보도에 따르면, CBP는 일정 무게 이상의 금괴를 단순 금속이 아닌 가공 재화로 분류하면서 기존 면세 원칙에서 벗어난 조치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보도 이후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작동하며 국제 금 선물 가격은 일시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은 전통적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높을 때 안전자산으로 주목받는 품목이다. 이에 따라 수입 절차에서 세금과 비관세 장벽이 전혀 없거나 최소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미국 정부 내 일부 기관이 무역 보호 조치 강화의 일환으로 귀금속류에 대한 규제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시장의 민감도가 높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특히 금이 미국 내 정치·경제 안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자산으로 취급되는 점에서, 이를 관세 대상으로 규정할 경우 경제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계산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금 시장의 추가 불안을 잠재우는 데 일조할 수 있지만, 세관 당국의 구체적 실행 지침이 어떻게 정리되느냐에 따라 실질적 영향은 달라질 수 있다. 행정부 내 관세 정책의 일관성 여부 역시 금값 안정성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