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 앞두고 판매 급증…최대 1,030만 원 혜택 쏠림 현상

| 연합뉴스

미국에서 전기자동차 구매 시 적용되던 세액공제 혜택이 이달 말 종료될 예정이면서, 전국적으로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막바지 혜택을 누리기 위해 몰리고 있고, 완성차와 딜러업계는 일시적인 수요 확대 속에 급격한 판촉 경쟁에 돌입한 모습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현재까지 전기자동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최대 7,500달러(약 1,030만 원)의 세액공제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이 제도는 오는 9월 30일을 끝으로 종료되며, 세제 변경은 트럼프 대통령 주도로 통과된 감세 법안의 영향에 따른 조치다. 이로 인해 전기차 업체와 딜러들은 소비자 수요가 끊기기 전에 막판 수요를 붙잡기 위한 전방위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실제 현장 반응은 즉각적이다. 콜로라도주 덴버의 한 기아자동차 대리점에서는 소형 SUV 모델 EV 니로가 월 40달러(약 5만6천 원), 준중형급 EV6는 월 100달러(약 13만9천 원) 미만, 준대형 SUV EV9는 월 189달러(약 26만3천 원)에 리스 차량으로 출시됐다. 닛산의 전기 SUV 아리야(판매가 약 5만7천달러) 역시 월 169달러의 리스 조건으로 판매돼 현지 톱 판매 차종으로 떠올랐다. 이는 전통적으로 ‘차량 가격의 1% 수준 이하의 월 리스료 조건이 가장 유리하다’는 자동차 업계의 통설을 훨씬 밑도는 수준이다.

소비자 반응도 뜨겁다. 평소 전기차에 관심이 있었지만 가격 때문에 망설이던 수요층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분위기다. 한 버스 운전사는 세액공제가 아니었으면 고가의 차량을 구매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이번 기회를 잡은 데 대해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 전기차 산업 보조체계가 중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현상이 단기적 판매 호황에 그치지 않고, 전기차 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조금이 사라지면서 딜러들은 명확한 가격경쟁력과 새로운 판매전략이 불가피해졌으며, 일부 완성차 기업은 전기차 생산 조정이나 축소를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보조금 없는 시장 환경에서 전기차 경쟁력이 어떻게 유지될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가격 의존적인 소비자층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정체 혹은 역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