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해 부과 중인 25%의 고율 관세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여,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마진 압박과 수익성 저하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IBK투자증권은 9월 16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최근 일본 및 영국과의 자동차 관세 협상을 통해 세율을 인하한 사례를 분석하면서, 한국에 대한 동일한 수준의 합의 도출과 실제 적용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은 지난 7월 22일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7.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이 조치가 실제로 발효되기까지 56일이 소요됐다. 같은 방식으로 5월에 영국 차에 대한 관세를 10%로 인하하는 데도 발효까지 53일이 걸렸다.
이러한 절차적 지연을 고려할 때, 한미 간 자동차 관세에 대한 협상이 9월 말에 원만히 체결된다고 하더라도, 올해 안에 실질적인 관세 인하가 이루어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현욱 연구원은 이로 인해 일본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일부 회복할 수 있는 반면, 한국 업체들은 비교 열위에 놓이게 되어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국내 대표 완성차 기업인 현대차와 기아는 관세가 현재 수준(25%)으로 지속될 경우, 각각 월 4천억 원과 3천억 원대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로 인해 3분기부터 관세 부담이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되면서, 하반기 수익성이 당초 예상보다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더불어 미국 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한국 기업들엔 추가 부담 요인이다.
이현욱 연구원은 오는 9월 18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현대차의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으로 관세 대응 전략, 스마트카 사업 계획, 그리고 미국 내 전기차 보조금 축소에 따른 대응 방안을 꼽았다. 이는 향후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전략 수립의 핵심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진다.
이 같은 관세 불확실성은 단순히 기업의 수익성 저하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공급망과 통상 환경 변화에 민감한 한국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구조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 차원의 외교적 협의와 더불어, 기업들도 중장기적 전략 재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