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美 기술자 구금 사태에 “한미 제도 개선 시급” 촉구

|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미국법인이 최근 조지아주 공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기술자 집단 체포 사건과 관련해 미 이민 정책과 기업 환경 간의 균형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양국 간 건설적 해법을 촉구하고 나섰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인 호세 무뇨스 사장은 9월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최고경영자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조지아주 엘러벨 지역 배터리 합작공장에서 근무 중이던 한국인 기술 인력 300여 명이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의해 일시 구금됐다가 석방된 사안을 언급했다. 그는 단기 출장 형태의 기술 인력 파견에 대해 한미 양국이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찾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제가 된 이들은 모두 조지아 메타플랜트 건설과 최종 기술 점검 작업을 진행하던 숙련 기술자들로,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가 공동으로 조성 중인 전기차 배터리 공장 설비의 시험 가동과 품질 검증 업무를 맡고 있었다. 미국 이민법상 비자 요건에 따라 세부 절차 상의 위반 여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현대차 측은 이들이 사업 운영에 필수적인 기술 인력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조속한 제도 개선을 요청하는 입장이다.

무뇨스 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현대차그룹이 지난 40년간 미국 내에서 활동해온 역사와, 특히 조지아주에서는 15년 이상 생산 및 고용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건설 중인 전기차 및 배터리 메가공장이 조지아주 역대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수천 가구에 안정된 소득과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도 부각시켰다.

한편 현대차가 미국 내에 설립한 생산거점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는 향후 그룹의 북미 전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시장 확대와 미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이후 ‘현지 생산-현지 소비’ 전략이 강화되면서, 이 공장의 조기 정착 여부가 그룹 전체의 글로벌 전기차 경쟁력에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건은 중장기적으로 미-한 산업 협력에 있어 인력 이동과 비자 규정 문제에 새로운 제도적 논의를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 기업 입장에서는 글로벌 생산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해야 하고, 정부 입장에서는 자국 노동시장 보호와 합법 이민 관리라는 과제를 지닌 만큼, 현실적인 절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