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업계에서 잇따라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서, SK텔레콤과 KT 등 주요 통신사들은 재무 불확실성 속에 향후 설비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금융투자업계는 당분간 해당 업종에 대해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국투자증권은 2025년 9월 25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최근 SK텔레콤과 KT에서 발생한 보안 사고가 기업 실적과 투자 계획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사고로 인한 고객 보상 및 과징금으로 단기 실적에 타격이 발생했고, 네트워크 보안 강화에 대한 외부 요구도도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곧 관련 분야의 설비 투자 확대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보통 통신사는 인공지능(AI) 분야 등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이번 보안 사태 이후에는 이익잉여금 등 제한된 자원을 어디에 우선 배분할 것인지가 중요한 투자 전략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보안 강화와 AI 개발, 그리고 주주에 대한 배당이라는 세 가지 축 사이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사고가 업계 전체의 수익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예컨대 SK텔레콤의 경우 해킹 대응 차원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고, 통신 3사의 보안 투자 확대는 현 시점에서 장기적인 수익성 저하로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업종 투자 의견은 여전히 ‘비중 확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당장 배당 축소 가능성 또한 크지 않다는 진단이 병행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해킹 등 사이버 위협이 잦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사고가 통신사들의 인프라 투자 전략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KT에 대한 후속 조사 결과가 추가 피해나 지출 확대로 이어질 경우, 통신업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 같은 흐름은 통신사의 기술 혁신과 보안 강화를 동시에 요구받는 현 시장 구조를 반영한 것으로, 향후 관련 정책 또는 기업 투자 계획에 따라 업계의 수익성과 주가 흐름에 중장기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