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쇼핑 '126억 손실' 직격탄…정부 '11억 긴급 매입'·수수료 면제 대응

|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가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피해를 입은 우체국 쇼핑 입점 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내놨다. 이번 화재로 인해 일시적으로 쇼핑몰 운영이 중단되면서 소상공인들이 약 126억 원에 달하는 매출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제가 된 화재는 지난 9월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우체국 쇼핑 서비스가 중단됐으며, 특히 추석 연휴 직전이라는 시점적 특성 탓에 매출 손실 규모가 더 크게 확대됐다. 우체국 쇼핑은 농수축산물, 지역 특산품 등 중소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상품의 주요 유통 창구 중 하나다. 명절 특수를 앞둬 판매를 기대하던 입점 업체 입장에선 치명적인 타격이 된 것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이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긴급 조치를 마련했다. 먼저, 다음 달 말까지 운영되는 ‘피해 신고센터’를 통해 각 업체의 손실 내용과 피해 규모를 접수받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피해 사항이 큰 식품류 판매 업체 등을 선정해 약 11억 원 규모의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방식으로 재고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이와 함께 후속 보완책으로는, 우체국 보험·예금 부문에서 사용하는 홍보 물품을 22억 원어치 구입하고 해당 제품을 중심으로 외부 온라인 쇼핑몰과 협력한 기획전을 진행해 판로를 넓힌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정산금 지급도 앞당겨, 원래 10월 5일 예정이던 판매 정산금 73억 원은 10월 2일로 조기 지급된다. 여기에다 쇼핑몰 정상화 이후 한 달 동안 판매 수수료도 면제함으로써 업체들의 회복을 돕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태는 디지털 정부 운영의 핵심 인프라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관리 체계에 대한 신뢰에도 영향을 주는 일인 만큼, 장기적으로는 재발 방지를 위한 공공IT 시스템 전반의 보안 및 백업 체계 강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우체국 쇼핑 서비스는 복구되지 않았으며, 정상 재개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될 전망이다.

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관련 업체들의 정상 영업 복귀에 제약을 줄 수 있으나, 정부와 공공기관 차원의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시장 회복도 빠르게 뒤따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번 사례는 온라인 공공 플랫폼 의존도가 커지는 중소기업 유통 구조의 리스크를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