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화증권 전면 투명화… 예탁결제원, 통합정보시스템 본격 가동

| 연합뉴스

한국예탁결제원이 유동화증권 관련 정보를 보다 투명하게 관리·공개하기 위한 통합정보시스템을 본격 운영 중이다. 지난해 1월 자산유동화법 개정 시행에 맞춰 기존 시스템을 확장한 것으로, 관련 증권의 발행부터 공시, 신용평가까지 전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시스템 개편의 직접적인 배경은 2024년 1월부터 시행된 자산유동화법 개정이다. 개정 법령은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때 발행내역뿐만 아니라 자산유동화계획, 의무보유 비율, 신용보강 체계 등을 반드시 공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 보호와 시장의 신뢰 확보를 위한 기반이 강화됐다.

통합정보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구조로 구성돼 있다. 하나는 증권 발행자와 관련 기관이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수집 시스템이며, 다른 하나는 외부 사용자, 즉 투자자나 일반인이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개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금융당국은 유동화자산 보유자의 5% 의무보유 조항 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게 됐고, 투자자는 거래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원스톱으로 조회할 수 있다.

시스템 도입 이후 참여 기관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총 49개 기관이 시스템에 참여했으며, 이 중에는 25개 증권사, 4개 은행, 주택금융공사 및 다수의 부동산 신탁회사가 포함된다. 이들은 유동화증권 발행내역 총 4,208건을 등록했는데, 이 중 300건은 등록 유동화, 나머지 3,908건은 비등록 유동화 증권이다.

예탁결제원은 앞으로도 시스템 운영을 통해 규제당국의 정책적 모니터링을 뒷받침하고, 투자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흐름은 유동화증권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는 한편,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유동화증권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