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전략광물 '갈륨' 생산 착수… 中 의존 탈피 본격화

|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격화되면서 전략 광물의 공급 안정이 세계 각국의 경제 안보 핵심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고려아연이 반도체 핵심 소재인 게르마늄에 이어 또 다른 전략 광물인 갈륨의 국내 생산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고려아연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 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이 설비는 2028년 상반기에 시운전을 거쳐 본격적인 상업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며, 연간 약 15.5톤의 갈륨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회사 측은 이로 인해 연간 110억 원 규모의 수익을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결정은 최근 갈륨 가격이 중국의 수출 규제로 꾸준히 상승 중인 상황에서 기술 상용화 성과를 기반으로 한 투자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갈륨은 반도체를 비롯해 태양광, 레이저, LED, 고속 집적회로 등 다양한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소재다. 이런 중요성 때문에 우리 정부는 자원안보특별법상 관리 대상 핵심 광물 33종 중 하나로 갈륨을 지정했으며, 미국 역시 이를 에너지법에 따른 전략 광물 목록에 포함시켜 국가 안보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갈륨 생산량의 98% 이상이 중국에서 공급되고 있어 공급망 불안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국 역시 갈륨 수입의 7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자립 필요성이 커졌다.

갈륨 생산 공정의 부산물로 나오는 또 다른 광물인 인듐 역시 전략적 가치가 높은 소재다. 인듐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기술에 쓰이는 희소금속으로, 세계적으로 공급이 제한적이며 최근 5년 사이 가격이 두 배 넘게 상승했다. 고려아연은 이미 연간 약 150톤의 인듐을 생산하며 전 세계 수요의 11%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을 제외하면 세계 최대 수준이다. 이번 갈륨 공정 도입으로 연간 16톤 이상의 인듐을 추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고려아연은 지난 8월 미국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계기에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전략 광물 공급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게르마늄 독자 공급망 구축에도 나섰으며, 오는 2028년까지 온산제련소에 별도 게르마늄 생산 공장을 세워 연간 10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회사는 이같은 행보가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전략 광물 공급망의 탈중국화를 주도하는 데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국제 정세와 공급망 효율성이 복합적으로 얽힌 상황에서, 고려아연의 이번 투자는 단기 수익을 넘어 중장기적 전략 광물 자립 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 산업 전반의 안정적 성장 기반을 다지고, 글로벌 첨단산업 내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