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희토류 갈등이 일시적으로 진정된 가운데, 주요 7개국(G7)이 핵심 광물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해 공동 전선을 형성하면서 대중 견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G7 소속 에너지 장관들은 10월 30일부터 이틀간 캐나다 토론토에서 회의를 열고 '핵심 광물 생산 동맹'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동맹은 지난 6월 G7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핵심 광물 행동 계획(CMAP)을 구체화한 것으로, 주요 광물의 공급 다변화와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여기에는 리튬과 희토류, 흑연 등 첨단산업 및 국방에 필수적인 광물의 생산과 정제, 재활용까지 포함된다.
주요 참가국들은 이 동맹을 통해 총 25건의 신규 투자에 나서고, 참여국 간 공급망을 ‘거미줄식’으로 연결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영국은 자국 수출금융 기구를 통해 캐나다 광산 지원에 필요한 재정 협력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에너지 기업 에니는 리튬과 희토류 정제에 강점을 가진 캐나다 스타트업에 투자를 추진 중이다. 이는 단순히 자원 확보를 넘어서 기술력까지 확보하려는 포석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배경에는 희토류 산업에 대한 중국의 절대적인 영향력이 자리하고 있다.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중국은 정제 및 가공 부문에서는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나 반도체, 군수장비 같은 첨단산업 전반에 걸친 국제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캐나다 에너지부 장관은 G7의 이번 합의가 중국에 대한 시장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이에 즉각 반응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G7이 시장경제 원칙을 훼손하고 있으며, 국제무역 질서를 소규모 국가 연대의 규칙으로 재편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상무부는 희귀 금속의 수출 절차를 강화하며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는 중국이 희토류 외에도 텅스텐, 안티몬, 백은 등 다른 주요 광물의 지배권을 놓지 않으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제 광물 시장의 지형을 크게 바꿔놓을 수 있다. G7의 연대 강화가 실제 공급망 다변화로 이어진다면, 중국 중심의 희토류 공급 구조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러한 전략이 실질적인 성과를 보이기까지는 투자, 기술 확보, 인프라 구축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