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게임업체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글로벌 주요 게임쇼에 연이어 참여하면서 해외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에 참가한 데 이어, 이달 말 일본 지바현에서 열리는 도쿄게임쇼(TGS)에서도 대형 신작을 대거 선보이며 시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도쿄게임쇼 2025는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일본 마쿠하리 멧세 전시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넷마블, 넥슨, 엔씨소프트, 스마일게이트, 컴투스, 펄어비스 등 한국 주요 게임사들이 참가를 확정한 상태다. 이번 행사에는 일본과 북미·유럽 등의 대표 대형사인 캡콤, 유비소프트, 일렉트로닉 아츠(EA),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 등도 함께하고 있어 글로벌 게임시장 최대 전시 중 하나로 손꼽힌다.
한국 게임사의 이번 참가에서는 특히 일본 시장에서 인기 높은 ‘서브컬처 게임’들이 대거 출품될 예정이라 주목된다. 서브컬처 게임은 주로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그래픽, 캐릭터 중심 스토리 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일본 현지 팬층이 두터워 시장 진출에 유리한 장르로 꼽힌다. 넷마블은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과 ‘몬길: 스타 다이브’를, 스마일게이트는 자체 제작 서브컬처 게임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와 ‘미래시: 보이지 않는 미래’를 각각 출품한다.
이외에도 컴투스는 일본 애니메이션 ‘도원암귀’를 기반으로 한 ‘도원암귀 크림슨 인페르노’를, 엔씨소프트는 서브컬처 게임 신작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를 현장에서 시연할 계획이다. 특히 넷마블과 엔씨소프트는 일본 대기업이나 기술 기업과 협업 부스를 운영하며 공동 마케팅에도 나서 현지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끌어올릴 예정이다.
한편, 콘솔 시장을 겨냥한 대형 타이틀들도 도쿄게임쇼에서 시연된다. 넥슨게임즈는 자사 루트 슈터 장르의 대표작 ‘퍼스트 디센던트’를 바탕으로 콘솔 및 PC 사용자층 확대를 시도하며, 펄어비스는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신작 ‘붉은사막’을 현지에서 직접 선보인다. ‘붉은사막’은 앞서 게임스컴에서도 관람객 대기줄이 길어지는 등 큰 관심을 받았고, 일본에서도 같은 반응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도쿄게임쇼 내에 한국 공동관을 운영해 국내 중소 및 인디 게임사들의 일본 시장 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대규모 참여를 통해 한국 게임업계는 단순한 수출 확대를 넘어, 일본 소비자와의 직접 접점을 늘리며 브랜드 경쟁력과 흥행 가능성을 동시에 타진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한국 게임 제작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특히 일본과 북미권 서브컬처 팬층을 적극 겨냥한 콘텐츠 기획과 맞물려 향후 안정적인 해외 매출 기반 형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