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re네트워크가 16일(현지시간)부터 자사 FAssets 발행 앱에서 XRP를 공급할 때 Xaman 지갑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통합을 통해 XRP 보유자는 Xaman 지갑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FXRP를 발행할 수 있게 됐다. FXRP는 Flare 네트워크 상에서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발행되는 XRP의 대표 자산이다.
◇ "EVM 지갑과 Xaman 지갑 모두 필요"
Flare 측은 "FXRP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EVM 호환 지갑(예: Ledger)과 Xaman 지갑이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Xaman 지갑은 XRP 원장(XRP Ledger) 상의 작업에 사용되며, Ledger나 Bifrost와 같은 EVM 지갑은 Flare 네트워크 상의 트랜잭션 확인에 필요하다.
EVM 지갑 없이 Xaman 지갑만 연결할 경우 발행 절차를 완료할 수 없으며, FXRP 발행을 시작하기 전 반드시 EVM 지갑을 준비하고 연결해야 한다.
◇ FXRP 발행에 필요한 준비물
사용자는 FXRP 발행을 위해 아래 항목을 준비해야 한다.
Xaman 지갑: XRP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 완료되어야 함
EVM 지갑: Ledger 등, 다음 잔고를 포함해야 함
최소 13 XRP (발행 및 수수료 포함)
FLR 토큰 0.01% (담보 예약 수수료)
◇ 1단계: FAssets 발행 포털 접속
사용자는 다음 FAssets 발행 포털 중 한 곳에 접속해야 한다.
사이트 접속 후, 우측 상단의 ‘지갑 연결(Connect Wallet)’을 선택한다.
◇ 2단계: EVM 지갑(Ledger 등)을 Flare 네트워크에 연결
‘지갑 연결’ 클릭 후, ‘Ledger Connect’ 선택
Flare Mainnet만 선택하고, XRP는 선택하지 않음
‘다음(Next)’ 클릭
Ledger 기기의 PIN을 입력해 잠금 해제한 후, Flare 앱 실행
Ledger 화면에 ‘Flare ready’ 표시가 뜨면, 포털로 돌아가 ‘I’m ready to connect to Flare Mainnet’ 클릭
이제 사용자의 EVM 지갑은 Flare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이며, 다음 단계로 Xaman 지갑 연결이 가능하다.
◇ 3단계: Xaman 지갑을 XRP 원장(XRPL)에 연결
다시 우측 상단의 ‘지갑 연결(Connect Wallet)’을 클릭
이번에는 ‘Xaman Wallet’을 선택
화면에 QR 코드가 표시되면, Xaman 앱으로 스캔
Xaman 앱에 연결 요청 서명이 나타나면 세부 정보를 확인 후, 슬라이드하여 승인
연결이 완료되면, FAssets 발행 앱 내 Xaman 지갑이 ‘Connected’ 상태로 표시됨
이제 사용자 EVM 지갑과 Xaman 지갑이 모두 연결되었으며, FXRP 발행을 진행할 준비가 완료된다.
◇ 4단계: FXRP 발행하기
EVM 지갑과 Xaman 지갑을 모두 연결한 이후, 다음 단계를 통해 FXRP를 발행할 수 있다. 이후 Flare 기반 DeFi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XRP를 XRP 원장(XRPL)에서 확보
XRP가 거래소에 있다면, Ledger나 Bifrost 등 Flare 및 XRPL을 지원하는 자체 보관형 지갑으로 출금
AU 또는 Oracle Daemon 사이트에서 FXRP 발행
FXRP를 회수하려면, AU 또는 Oracle Daemon에 지갑 연결 → 회수할 FXRP 수량 선택 → 거래 확인 → XRP가 Xaman 지갑 주소에 입금될 때까지 대기
자세한 단계별 안내는 아래 FXRP 발행 가이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