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 금융급 블록체인 기반을 재창조하기 위한 기술적 청사진

| 토큰포스트

지난 10여 년간 블록체인 기술은 초기 결제 시스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탈중앙화 금융(DeFi)에 이르기까지 빠르게 확장돼 왔다. 그러나 산업이 글로벌 결제, RWA(실물자산) 정산, 기관형 금융 시스템으로 이동하면서 기존 블록체인 아키텍처가 가진 구조적 한계는 더욱 분명해졌다. 성능 병목, 예측 불가능한 지연(latency), 제한된 확장성, 부족한 감사 가능성 등은 단순한 최적화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설계 자체에 내재된 구조적 제약으로 지적된다.

MOVA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한다. 단순히 오래된 구조를 보완하거나 개선하는 방식이 아닌, 처음부터 금융 산업의 요구에 맞춰 ‘금융급’을 목표로 한 블록체인 기반을 재설계하는 접근을 취한다. MOVA 아키텍처는 서로 강하게 맞물린 기술적 구성 요소들로 이뤄져 있으며, HashCube HyperDAG 합의 구조, 수학적으로 구조화된 하이퍼큐브 P2P 네트워크, Verkle Tree 기반 상태 증명, 고성능 병렬 실행 엔진 등이 핵심 축을 이룬다. 이 기술들은 개별 기능이 아닌 서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글로벌 결제와 기관급 금융 환경에 최적화된 통합 인프라를 구성한다.

왜 기존 블록체인은 글로벌 금융 인프라를 지원할 수 없는가

MOVA의 설계 논리를 이해하려면, 기존 블록체인이 가진 구조적 특징과 실세계 금융 시스템이 요구하는 조건 사이의 근본적 불일치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체인 기반 블록체인은 구조적으로 선형적 병목을 피할 수 없다. 블록은 순차적으로 생성되고, 모든 트랜잭션은 단일 경로를 따라 처리되기 때문에 TPS가 수천 단위를 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기존 블록체인들이 사용하는 랜덤 고십 네트워크는 트랜잭션이 네트워크 전체로 확산되는 속도를 보장하지 못해 지연 시간이 예측 불가능하며, 노드 수가 늘어날수록 성능 저하가 급격하게 나타난다.

더 중요한 문제는 기존 합의 메커니즘이 금융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결정적(final)’ 최종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들로는 금융 인프라가 요구하는 수준의 확정적 최종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TPS, 지연, 트랜잭션 확산 구조, 최종성 등 모든 핵심 요소에서 기존 블록체인 아키텍처는 금융 시스템의 요구조건과 충돌한다.

MOVA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구조를 보완하는 방식이 아닌, 처음부터 결정론적으로 트랜잭션이 네트워크 전반에 확산되는 구조를 갖춘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입한다.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시작하는 혁신: 하이퍼큐브 P2P 토폴로지의 결정론적 확산

MOVA는 하이퍼큐브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는 HyperDAG, 즉 HashCube를 구축한다. 기존 DAG 프로젝트들이 DAG을 별도의 계층으로 인위적으로 설계하는 것과 달리, HashCube에서는 트랜잭션이 네트워크 전반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DAG이 자동으로 형성된다.

각 노드는 이웃 노드로부터 부모 트랜잭션을 받아 자신의 트랜잭션과 함께 다음 레이어로 전달한다. 이러한 레이어가 반복적으로 쌓이면서 역트리(reverse-tree) 형태의 DAG이 자연스럽게 생성된다.

이 설계에서는 트랜잭션 확산 과정과 거래의 최종성이 결정되는 과정이 서로 분리된 기능이 아니라, 동일한 흐름 속의 두 단계로 작동한다.

트랜잭션이 네트워크에 어떻게 퍼지느냐가 DAG 구조를 결정하고, 이 DAG 구조가 다시 어떤 트랜잭션이 최종적으로 확정되는지를 결정한다.

최종 블록은 선거, 경쟁, 검증자 투표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에포크 내에서 DAG이 자연스럽게 수렴하는 지점에서 확정된다. 어떤 트랜잭션이 최종 블록에 포함될지는 계산력이나 확률적 요소가 아니라 수학적으로 정의된 가시성(visibility)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따라 판단된다. 이는 MOVA의 Proof-of-Visibility 모델의 핵심 기반이 된다.

Proof-of-Visibility: 채굴이나 복잡한 통신이 아닌 수학에서 도출되는 최종성

HashCube에서 트랜잭션의 유효성은 누가 블록을 만들었는지, 누가 더 많은 스테이크를 보유했는지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해당 트랜잭션이 얼마나 많은 노드와 경로를 통해 관측되었는가가 핵심 기준이다.
가시성 임계치를 충족하면 해당 트랜잭션은 최종성을 획득한다.

이 방식은 세 가지 핵심 혁신을 제공한다.

  1. PoW 제거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없으며
  2. BFT 구조처럼 여러 라운드의 통신이 필요 없고
  3. Avalanche 계열의 확률적 불안정성도 제거된다.

최종성은 트랜잭션 확산 과정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결정되며, 금융 시스템이 요구하는 예측 가능·감사 가능·결정론적 특성을 충족한다.

합의 속도와 실행 속도의 균형: 병렬 실행 + Verkle Tree 구조

합의가 아무리 빨라도 실행 레이어가 병목이 되면 전체 성능은 제한된다. MOVA는 두 레이어가 같은 속도로 전진할 수 있도록 정교한 엔지니어링 최적화를 적용했다.
멀티코어 병렬 실행 엔진과 GPU 기반 서명 검증 배치 처리 등을 통해 실행 처리량을 합의 처리량과 균형 있게 맞추며, 이론적인 수치가 아닌 실제 운영 환경에서 고성능을 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금융급 블록체인에 최적화된 Verkle Tree를 채택해 매우 작은 증명 크기, 빠른 상태 검증, 강력한 라이트 노드 지원, 향상된 감사 및 브리지 검증 효율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은행, 결제, RWA, 크로스체인 등 금융 시스템이 요구하는 감사 가능성과 성능을 동시에 충족한다.


글로벌 배치를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 지역 하이퍼큐브 + 대륙 간 링 구조

합의와 실행 레이어가 체인 내부의 처리 성능을 결정한다면, 글로벌 배치를 위한 네트워크 구조는 체인의 외부 성능을 규정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금융급 블록체인은 어느 지역에서 접속하더라도 지연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돼야 하며, MOVA는 이를 위해 네트워크를 두 개의 계층으로 나누는 방식을 채택했다. 지역 하이퍼큐브는 10~50ms 수준의 짧은 지연을 제공하고, 해저 케이블 경로를 기반으로 설계된 대륙 간 링 구조는 100~300ms 범위의 지연을 보장한다. 이 이중 구조를 통해 파리, 싱가포르, 두바이 등 전 세계 어디에서든 예측 가능한 레이턴시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블록체인에서는 구현이 어려웠던 글로벌 결제 및 RWA 정산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이다.

인센티브 레이어의 진화: 안정성 우선 → 이후 분산화

MOVA는 합의 레이어와 인센티브 레이어를 분리해 네트워크의 성장 단계에 맞춰 인센티브 구조를 점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식을 채택했다. 초기 단계에서는 안정성과 성능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dPoS 방식을 사용하며, 네트워크가 확장 단계에 진입하면 무작위 샤딩을 포함한 완전한 PoS 구조로 전환한다. 이러한 단계적 경로는 안정성에서 확장성, 그리고 분산화로 이어지는 실용적 로드맵을 구성해 금융급 품질을 유지하는 동시에 개방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MOVA의 의미: 단순히 ‘더 빠른 체인’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더 올바른 구조’

전체 구성 요소를 함께 놓고 보면, MOVA는 단순히 성능을 높인 블록체인이 아니라 수학적 원리, 네트워크 구조, 실행 레이어를 기초부터 다시 설계한 새로운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MOVA의 핵심 강점은 TPS 수치가 아니라, 트랜잭션이 결정론적으로 확산되는 네트워크 구조, 수학에 기반한 최종성 모델, 병렬 실행 성능, 감사가 가능한 상태 증명, 전 세계에서 예측 가능한 지연 시간, 그리고 금융 시스템에 맞춰 구성된 모듈형 아키텍처 등에서 드러난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면서 MOVA는 차세대 금융급 블록체인 인프라의 유력한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기존 구조를 단순히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완전히 새로운 아키텍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Website: www.movachain.com
X: https://x.com/MovaChain
Telegram: https://t.me/MovaChain

Mova 글로벌 커뮤니티 앰버서더 모집 프로그램

Mova 글로벌 앰버서더 프로그램 신청

https://forms.gle/t4QT5XFrkLBWaeiH6

심사 기간은 5–7 영업일이며, 결과는 이메일 또는 텔레그램 DM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