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다수의 자율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는 협업 환경이 본격화되고 있다. 모델, 에이전트, 도구, 오프체인 서비스 간 연결이 복잡해지는 가운데, X402 구조(Agents × Tools × Tasks × Payments)는 향후 AI 시스템이 단일 모델이 아닌 다수의 에이전트가 경제 단위로 움직이는 생태계로 발전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AI 협업을 지탱하는 기반 인프라는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 단일 태스크 엔진, 폐쇄형 플랫폼에 머물러 있어 글로벌 상태 일관성과 검증 가능성, 투명한 실행 과정, 고신뢰 동시성 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MOVA는 이 같은 한계를 지적하며 “AI는 단순 연산을 넘어 협업을 위한 질서를 필요로 하는 단계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기존 블록체인 구조나 전통적인 노드 경제 모델을 따르지 않고, 중단 없는 공공 상태 레이어, 신뢰 없는 협업 검증 레이어, 대규모 에이전트 결제 레이어, 그리고 X402 전반을 지원하는 글로벌 정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노드 네트워크를 재설계했다고 밝혔다.
왜 AI 협업에는 MOVA 같은 노드 시스템이 필요한가
MOVA는 자율 에이전트가 확산되면서 기존 시스템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세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첫째는 상태 일관성 부족이다.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에이전트는 동일한 세계 상태를 공유하지 못해, 태스크 수행 여부·도구 호출·데이터 갱신 등의 기록이 분산되면서 협업의 기반이 흔들린다는 설명이다.
둘째는 가치 정산 문제다. X402는 AI 경제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작업·자원 사용·도구 호출은 실시간으로 기록·정산돼야 한다. 검증 가능한 원장 없이는 장기적 AI 경제 운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는 책임 추적의 부재다. 자율 에이전트가 실행하는 작업에서 오류나 오남용이 발생할 경우 책임 구조가 불명확해 기업과 규제기관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MOVA는 분석했다.
MOVA는 “AI는 지능과 계산 능력뿐 아니라 협업과 검증, 경제 조정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체인 기반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MOVA 노드는 AI를 위한 새로운 협업 질서를 구축
MOVA에 따르면 자사 노드 네트워크는 기존 블록체인의 채굴 노드·검증 노드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노드 역할을 X402를 기준으로 재정의해 AI 협업을 위한 행동 기반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우선 하이퍼큐브 기반 P2P 네트워크를 적용해 기존 무작위 전파(gossip) 대신 결정적 라우팅을 제공함으로써, 태스크 메시지·도구 호출·상태 업데이트가 예측 가능한 시간 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했다.
또한 MOVA는 HashCube HyperDAG 합의를 도입해 경쟁적 블록 생성 대신 DAG 내 가시성 기반의 수학적 수렴 방식을 적용했다. 에이전트의 태스크 제출·도구 호출·결제 실행이 DAG 레이어를 따라 가시성을 확보해 임계점에 이르면 자연스럽게 최종성이 확보되는 구조다. MOVA는 “별도의 투표나 동기화 라운드, 채굴 경쟁 없이도 협업의 최종성이 보장된다”고 설명했다.
검증 노드는 중앙 시스템의 ‘완료 처리’를 수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각 태스크를 독립적으로 검증해 투명한 실행·명확한 책임 구조·견고한 오류 격리를 지원한다. 싱크 노드와 라이트 노드는 에이전트가 외부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도 글로벌 상태·지불·도구 호출 기록 등을 자체 검증할 수 있게 해준다.
MOVA는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가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중립적 글로벌 현실(global shared reality)을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드는 AI 시대의 협업·책임·금융 레이어 역할 수행
X402가 확산되면서 AI는 단순 예측 도구에서 글로벌 디지털 경제의 행위자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스크 부여 권한, 도구 호출 주체, 비용 지불 주체, 실행 실패에 대한 책임 소재, 가치 창출과 보상·페널티 기준 등 다양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MOV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행 검증·정산·책임 추적·글로벌 상태 동기화를 제공하는 체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MOVA의 설명에 따르면 검증 노드는 정확한 태스크 수행을 보증하고, 합의 노드는 변경 불가능한 글로벌 상태를 유지하며, 싱크 노드는 글로벌 메모리를 확장하고, 라이트 노드는 자율적 로컬 검증을 지원한다. 또 게이트웨이 노드는 오프체인 시스템과의 연결을 담당하고, 분산 저장 노드는 장기 기록·모델 조각·로그·문서 등을 보관한다.
이 회사는 “전통 블록체인에서 노드는 금융 중심 기능에 국한됐지만, AI 생태계에서 노드는 협업 기반·책임 구조·신뢰·경제 조정의 핵심 인프라로 확장된다”고 설명했다.
X402 시대, 노드의 가치는 기존 블록체인 역할을 넘어선다
MOVA는 노드가 단순 계산 장비를 넘어 AI 경제 질서를 구성하는 기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드는 AI 원장 유지, 태스크 순서 기록, 도구 호출 이력 저장, 에이전트 간 결제 증명, 평가·평판 시스템 지원, 글로벌 메모리 보존, 협업 논리 검증 등을 수행한다.
이 회사는 “이는 단순히 기계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AI 경제 질서와 공공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는 행위와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MOVA 노드는 블록체인 시대가 아닌 AI 협업 시대를 위한 시스템
MOVA는 기존 블록체인 노드가 탈중앙 금융 거래 확인에 중점을 뒀던 반면, 자사 노드는 지능형 에이전트 간 태스크·가치·책임 체인을 고정하는 ‘협업 질서 엔진’이라고 강조했다.
회사는 MOVA 노드가 금융 거래를 넘어 지능형 에이전트 작업 체인·가치 흐름·책임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신뢰 없는 실행·결정적 글로벌 상태·검증 가능한 논리에 기반한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MOVA는 “노드 시스템 개방이 확대되면 이는 단순 인센티브 모델이 아니라 AI 기반 글로벌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는 행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Mova는 고성능·기관급 신뢰·모듈형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블록체인으로, 규제 준수와 확장성을 갖춘 새로운 Web3 인프라 표준을 목표로 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