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비트코인 7% 상승, 알트코인은 최대 25% 하락…8조원 언락 부담에 시장 양극화 심화

| 토큰포스트 리서치

2025년 상반기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의 독주, 알트코인의 침묵’으로 요약된다. 미국 현물 ETF를 중심으로 기관 자금이 유입된 비트코인은 상승 흐름을 이어간 반면, 알트코인은 공급 과잉과 수요 부족 속에 대부분 하락세를 기록했다.

특히 2025년 들어 수십억 달러 규모의 토큰 언락이 집중되며, 알트코인 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

상반기 비트코인 7% 상승…이더리움 25%↓, 솔라나 18%↓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025년 1월 초 약 100,000달러 선에서 시작해 6월 말 기준 약 107,000달러 안팎으로 마감하며 약 7% 상승했다.

반면 이더리움(ETH)은 같은 기간 약 25% 하락했으며, 솔라나(SOL)는 18% 가까이 하락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과 주요 알트코인 간 수익률 격차는 최대 32%포인트 수준까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ETF와 제도권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집중된 반면, 알트코인 시장은 구조적인 매도 압력과 관심 저하에 직면한 셈이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상반기 수익률 격차는 약 30%포인트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590억 규모 토큰 언락, 알트코인 ‘무거운 발목’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동안 아르비트럼(Arbitrum), 옵티미즘(Optimism), 폴리곤(Polygon), SUI, 에이프코인(ApeCoin) 등 주요 프로젝트에서 약 590억 달러(약 8조 원) 규모의 토큰 언락이 진행된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2021~2022년 사이 고점에서 유치된 투자 물량이 시장에 대거 출회되기 시작한 시점과 맞물리며,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하락 압력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반기에도 약 300억 달러 이상의 추가 언락이 예정돼 있어,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개인투자자 이탈 가속화…밈코인·테마코인 거래량 급감

밈코인과 테마형 알트코인 역시 투자심리 악화의 직격탄을 맞았다. 도지코인(DOGE), 페페(PEPE), 플록키(FLOKI) 등은 전고점 대비 60% 이상 하락했고, 시장 거래량은 2021~2022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디앱레이더(DappRadar)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주요 체인에서의 디앱 활성 사용자는 전년 대비 18% 감소했다. 구글 트렌드와 트레이딩뷰 등에서의 검색 트래픽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어, 개인 투자자 관심 이탈이 실질적으로 진행 중임을 나타낸다.

“기술적 반등 여지 있지만 구조적 회복은 아직”

시장 분석업체 샌티먼트(Santiment)는 “공포 심리가 극단적으로 치달은 상황에서는 숏 포지션 청산에 따른 반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일부 알트코인의 펀딩비가 음수로 전환된 점은 단기 랠리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는 기술적 반등에 불과하며, 토큰 유통 구조, 유저 수요, 수익화 모델 등 펀더멘털 개선 없이는 중장기적 회복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ETF 자금은 BTC로 집중…알트 시장 구조 개선 시급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ETF 자금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은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 잡는 반면, 알트코인은 여전히 투기성 고위험 자산으로 분류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 알트코인은 여전히 공급 주도 시장이며, 내재가치 상승 요인을 찾기 어렵다”며 “언락 부담 해소와 함께 프로젝트의 실질 수익화 모델 확보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