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일간 스테이블코인 공급 흐름은 중앙화 거래소(CEX)에서의 대규모 자금 이탈과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및 탈중앙화 부문으로의 유입세가 뚜렷하게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
8일 기준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스테이블코인 공급 변화는 분야별로 극명한 흐름을 보였다.
가장 큰 공급 증가가 나타난 부문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 약 20억 달러의 순증가가 기록됐다. 이어 ▲자산운용(5240만 달러) ▲이자형 토큰(1940만 달러) ▲디파이(1430만 달러) 순으로 공급이 확대됐다.
반면, 공급 감소가 두드러진 부문은 ▲CEX(–32억 달러) ▲블록체인(–5억8160만 달러) ▲인프라(–5970만 달러) ▲마켓메이커(2150만 달러) ▲게이밍(–1470만 달러) ▲MEV(–1380만 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중앙화 플랫폼에서 유출이 집중된 반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와 탈중앙화 자산 기반 부문은 유입 흐름을 견조하게 이어가고 있는 양상이다. 이는 온체인에서의 안정성 추구와 자산 다변화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체인별 주간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변화 그래프 / 아르테미스최근 일주일간 온체인 스테이블코인 공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체인은 이더리움으로, 약 30억 달러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이어 ▲맨틀(1억3000만 달러) ▲아비트럼(9640만 달러) ▲트론(8670만 달러)도 뚜렷한 유입세를 보였다.
반면 ▲수이(–1억8430만 달러) ▲폴리곤 PoS(–1억930만 달러) ▲앱토스(–8580만 달러) ▲톤(–8100만 달러) ▲솔라나(–4350만 달러) ▲아발란체 C체인(–4280만 달러)는 자금 이탈 흐름이 지속됐다.
전반적으로 이더리움과 L2를 포함한 일부 메이저 체인으로 자금이 몰린 반면, 톤과 수이 등 일부 신흥 체인에서는 유출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온체인 유동성 회복이 특정 메이저 체인 중심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테이블코인 주간 순공급 상위 종목 / 아르테미스스테이블코인별 공급 변화에서는 USDe가 약 16억 달러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순증을 기록했다.
뒤이어 ▲USDT(1억4150만 달러) ▲USDS(8580만 달러) ▲RLUSD(3510만 달러) 순으로 공급 확대가 나타났다.
반면 ▲USDC(–30억 달러) ▲USDz(–1억1270만 달러) ▲FDUSD(–6740만 달러) ▲EURC(–4120만 달러) ▲DAI(–3010만 달러) ▲USD1(–2340만 달러)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은 공급 축소 흐름을 보였다.
USDe와 테더 중심의 공급 확대가 눈에 띄는 반면, USDC는 약 30억 달러가 감소하며 단일 자산 기준 가장 큰 이탈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