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가 8월 15일 발간한 ‘토큰포스트 Pulse’ 보고서에서 미국의 상장사들이 이더리움과 각종 알트코인을 재무 전략의 핵심 자산으로 채택하는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비트마인 이머전 등 기업들이 ETH 기반 재무전략을 발표하며 주가가 단기간에 수백 퍼센트 급등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주가 폭등 부르는 미국식 ‘알트코인 보물창고’
보고서는 미국 상장사들이 2025년 들어 이더리움 보유량을 급격히 늘려 전체 공급량의 1% 이상을 확보했으며, 일부 기업은 나스닥에서 일일 거래량 상위권에 오르며 주가가 800% 이상 뛰었다고 전했다. 또한 BTCS, 비트 디지털, 코인베이스 등 알트코인 재무전략을 발표한 기업들은 발표 당일 평균 72.4%의 주가 상승을 기록하고 30일 동안 322.8% 상승하는 등 시장의 과열을 보여줬다. 보고서는 “비트코인 중심 전략이 이미 레드오션이 된 가운데, 스테이킹 수익과 DeFi 활용이 가능한 알트코인이 후발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내 기업도 발 빠르게 참여…37개 상장사, 2천억 원대 가상자산 보유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서도 37개 상장사가 외부로부터 가상자산을 취득해 보유하고 있으며, 총 보유 규모는 약 2,01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은 자체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직접 발행한 토큰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USDT·USDC 등 스테이블코인을 대기 자금으로 활용하거나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대표 가상화폐를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트맥스, 국내 비트코인 보유량 1위…“중장기 재무전략”
코스닥 상장사 비트맥스는 2025년 6월 한 달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총 69.6개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해 보유량을 230.26개까지 늘리며 국내 상장사 중 비트코인 보유량 1위에 올랐다. 회사는 이 매입이 “단순한 일회성 거래가 아닌 중장기 재무 전략의 일환”이라고 밝히고, 전환사채 발행으로 조달한 500억 원 중 400억 원을 비트코인 구매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비트맥스가 아시아 13위, 전 세계 48위 수준의 비트코인 보유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넥슨·위메이드, 비트코인 ‘장기 투자’ 선언
또한 넥슨과 위메이드는 각각 1,717개와 223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단기 매매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비트코인을 현금과 동일한 장기 투자자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 수익을 추구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한국판 스트래티지가 탄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향후 국내 기업들의 비트코인·알트코인 편입 움직임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카카오게임즈·넷마블·갤럭시아머니트리 등 다양한 가상자산 확보
위메이드 외에도 카카오게임즈, 넷마블, 네오위즈홀딩스,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주요 게임·플랫폼 기업들이 WEMIX, BORA, NEOPIN, KLAY, USDC, USDT, MBX 등 다양한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갤럭시아머니트리는 GHUB·GXA·ETH를 보유해 NFT 플랫폼과 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네오위즈와 조이시티는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Intella X’ 등에 참여하기 위해 관련 토큰을 확보하고 있다. 안랩·FSN·티사이티테크 등도 KLAY·PLWI·ATC 등 토큰을 보유하며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알트코인 전략, 기회이자 위험”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기업들이 가상자산을 전략 자산으로 적극 활용하기 시작했지만, 자체 토큰 발행만으로 주가를 띄우는 등의 거품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 법·회계 제도가 아직 완전하지 않아 향후 규제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고서는 “가상자산이 기업 재무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는 흐름은 되돌릴 수 없는 트렌드”라며, 기업들이 재무전략 관점에서 어떤 코인을 선택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결론지었다.
‘TokenPost Pulse’는 매주 발간…PDF 및 인쇄본 신청 가능
토큰포스트는 이번 리포트를 통해 프리미엄 리서치 시리즈 ‘TokenPost Pulse’를 공식 론칭했다. Pulse는 Premium Update on Ledger, Strategy & Economy의 약자로, 매주 글로벌 상장사의 디지털 자산 전략을 중심으로 정리된 분석 리포트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