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 기관 트래커] 이더리움 전략보유·ETF 총 1060만 ETH 돌파…비트마인·샤프링크 대규모 매수 주도

| 정민석 기자

이더리움 전략자산(SER)과 ETF의 보유량이 1060만 ETH를 돌파하며 공급량 감소 흐름을 가속화하고 있다.

19일 전략적 이더리움 보유 추적 플랫폼 '스트래직이더리저브'에 따르면 전략자산(SER)과 ETF의 이더리움 보유량은 총 1060만 ETH(약 448억2740만 달러, 62조2780억원)로 집계됐다.

전략자산 물량은 409만 ETH이다. 약 172억9000만 달러(한화 약 24조209억원) 규모로,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의 3.38%에 해당한다.

이더리움을 전략적 자산으로 100 ETH 이상 보유한 단체는 총 70곳(대기 1곳 포함)이다.

유형별(중복 포함)로 ▲블록체인 14곳 ▲DAO 33곳 ▲디파이 15곳 ▲정부기관 3곳 ▲L1 3곳 ▲L2 12곳 ▲메타버스 6곳 ▲비상장 기업 3곳 ▲상장 기업 16곳 ▲재무 지갑 14곳 ▲웹3 단체 42곳이 있다.

가장 많은 이더리움을 보유한 곳은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BMNR)로, 150만 ETH(약 64억4000만 달러)를 보유하며 1위를 유지했다. 이는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의 약 1.26%에 해당한다.

샤프링크 게이밍(SBET)은 72만8800 ETH(약 30억8000만 달러)로 2위를 유지했으며 더 이더 머신(DYNX)이 34만5400 ETH(약 14억6000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이더리움 재단은 23만1600 ETH(약 9억7950만 달러)로 4위에 올랐으며 펄스체인 삭(PLS)은 16만6300 ETH(약 7억30만 달러)로 5위를 유지했다.

이어 ▲코인베이스(13만6800 ETH) ▲비트 디지털(12만300 ETH) ▲맨틀(10만1900 ETH) ▲골렘 재단(10만800 ETH) ▲이더질라 코퍼레이션(9만4700 ETH)이 6위부터 10위에 올랐다.

이더리움을 전략자산으로 보유한 상장 기업은 진입 대기 1곳(코스모스 헬스)을 포함해 총 16곳으로 집계됐다.

BMNR, SBET, DYNX와 함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13만6800 ETH, 약 5억7850만 달러)와 채굴 기업 비트 디지털(12만300 ETH, 약 5억880만 달러)이 상위 5위권에 들었다.

이번 주 이더질라 코퍼레이션(ETHZ)이 9만4700 ETH를 보유하며 6위로 올라섰다. 지난 12일 8만2200 ETH, 18일 1만2500 ETH를 매수하며 공격적으로 포지션을 확대했다.

이어 BTCS Inc.(7만 ETH, 약 2억9610만 달러)와 FG 넥서스(4만7300 ETH, 약 2억20만 달러)가 각각 7위와 8위로 뒤를 이었다.

이더리움을 전략자산으로 보유 중인 비상장 기업은 ▲하빈저 디지털(875 ETH) ▲블록스케이프(605 ETH) ▲하이프랩(103 ETH) 3곳이다. 모두 7월 진입했으며 최근까지 보유량 변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을 전략자산으로 채택한 정부 기관은 3곳으로 보유량 변동은 없었다. 미국 정부가 6만 ETH(약 2억5360만 달러)로 가장 많은 물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시간 주 정부가 4000 ETH(약 1690만 달러), 부탄 왕국 정부가 495 ETH(약 210만 달러)를 보유 중이다.

최근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들의 ETH 거래 활동을 살펴보면 18일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가 37만3100 ETH를 대량 매수하며 가장 큰 움직임을 보였다. 같은 날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는 1500 ETH를 매수했다.

이더질라 코퍼레이션은 12일에 8만2200 ETH를, 18일에는 1만2500 ETH를 매수한 바 있다. 15일에는 샤프링크 게이밍이 20만6500 ETH, 인체인스 그룹이 1800 ETH를 사들였다.

반면 매도 움직임으로는 클레로스가 8월 19일 1100 ETH를, 아비트럼 DAO가 8월 12일 1100 ETH를 각각 매도했다.

전략자산으로 직접 보유한 물량 외에 ETF를 통한 간접 보유 이더리움 역시 상당한 규모를 차지한다.

이더리움 기반 ETF에 보유된 총 물량은 현재 652만 ETH로, 달러 기준 약 275억5000만 달러 상당이다. 이는 이더리움 전체 공급량의 5.39%에 해당한다.

최근 이더리움 ETF 자금 흐름을 보면 5일부터 14일부터 8일 동안 순유입된 반면 15일과 18일에는 각각 1만3000 ETH, 4만4000 ETH의 순유출이 나타났다.

현재 ETF 보유량 상위 3종은 ▲아이셰어즈 ETHA(360만 ETH, 약 121억 달러) ▲그레이스케일 ETHE(120만 ETH, 약 48억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71만5700 ETH, 약 24억 달러)이다.

이더리움 전략자산화(SER)와 ETF를 통한 흡수는 공급량 감소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7일간 총 93만4500 ETH가 감소했다. 이 중 ETF 유출은 36만7000 ETH, 전략자산 유출은 59만1400 ETH로 확인됐다. 신규 발행량은 1만8600 ETH, 소각량은 1000 ETH로 집계됐다.

일일 기준(-67만3200 ETH)
ETF 23만9800 ETH 유출|전략자산 43만5900 ETH 유출|발행 2700 ETH|소각 120 ETH

30일 기준(-330만 ETH)
ETF 120만 ETH 유출|전략자산 220만 ETH 유출|발행 7만9800 ETH|소각 4200 ETH

머지 이후(-890만 ETH)
ETF 650만 ETH 유출|전략자산 290만 ETH 유출|발행량 250만 ETH|소각 200만 ETH

19일 오후 3시 기준 토큰포스트마켓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1.7% 하락한 422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