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IN 선두주자 ‘지오드넷’, 2025년에도 고속성장…“수익·사용성 모두 잡았다” - 메사리 리서치

| 이도현 기자

메사리 리서치(Messari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탈중앙화 물리 인프라(DePIN) 네트워크 지오드넷(GEODNET)이 2025년 2분기에도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DePIN 생태계의 선두주자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수익, 네트워크 규모, 파트너십 등 주요 지표에서 경쟁 프로젝트를 크게 앞지르며, 상반기 부진했던 토큰 가격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비즈니스 성과는 더욱 강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지오드넷은세계 최대 고정밀 RTK(실시간 키네마틱) 위치확인 네트워크를 목표로 탈중앙화 위성 마이너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현재 네트워크에는 145개국에 걸쳐 19,000개 이상의 활성 기지국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전세계 4,600개 이상의 도시에 걸친 배치를 의미한다. 지난 분기 14,000개의 활성 마이너에서 약 35% 증가한 수치며, 성능 기반 보상 체계를 도입한 GIP-6 제안이 이러한 확산을 가속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토큰 마이닝 보상을 운영 성과에 연동시킴으로써 고품질 데이터 제공자군을 선별·확장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이다.

수익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성장이 확인됐다. 지오드넷은 2025년 2분기에 96만 3,000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약 19% 증가했다. 연간 환산 시 300만 달러에 근접하는 수익 규모로, 메사리 데이터에 따르면 DePIN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Physical Resource Networks)의 중간값(73만 달러)을 대폭 상회한다. 메사리 리서치의 분석에 따르면 이는 하드웨어 중심 DePIN 프로젝트들 중 가장 강력한 수익 성과이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모델로 평가된다.

이와 동시에 GEOD 토큰의 소각량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5년 2분기 동안 총 380만 GEOD가 소각되었으며, 이는 전분기 대비 67% 증가한 수치다. 토큰 소각 가치는 75만 8,000달러로, 토큰 경제 활성화와 공급 압력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GEOD의 총 공급량은 10억 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미 54%가 언락된 상태다. 마이닝 보상 반감기 시행과 함께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도 병행되고 있어, 장기 토큰 보유자에 대한 유인도 강화되고 있다.

가격 측면에서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 흐름에 영향을 받아 GEOD 가격이 0.26달러에서 0.15달러로 43% 하락하고, 시가총액도 7,920만 달러에서 5,140만 달러로 35% 감소했다. 그러나 메사리 리서치 보고서는 이러한 가격 변동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성과와 인프라 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거의 없었다고 평가했다.

지오드넷은 생태계 확장도 병행하고 있다. 드론기반 정밀 측량 플랫폼 드론디플로이(DroneDeploy), IoT 모듈 제조사 퀘크텔(Quectel), 자율주행 로봇 개발사 프로도봇(Frodobots), P2P 오프램프 플랫폼 p2p.me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실제 산업 적용에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솔라나 모바일과 공동으로 GEO-PULSE 퀘스트 앱을 출시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소비자 참여 기반 인프라 확장도 병행하고 있다.

글로벌 거버넌스 이니셔티브 측면에서도 주목된다. 지오드넷은 탈중앙화 인프라 간 상호운용성과 표준 공동 개발을 목표로 설립된 DePIN 유니온에 헬륨(Helium), 하이브매퍼(Hivemapper), DIMO 등과 함께 합류했다. 현지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일본과 한국, 남아프리카 등지에 설치비용 없이 무상 기지국 배포 프로그램까지 운영했으며, 미국 의회 앞 증언과 다수의 글로벌 컨퍼런스 참석을 통해 정책·산업계 인식 제고에도 힘쓰고 있다.

한편, 로보틱스 및 정밀지리 데이터 기술 고도화를 위한 중장기 R&D 로드맵도 공개됐다. LEO(저궤도) 위성 추적 통합을 통한 실내 내비게이션 보완, 라이다와 IMU(관성측정장치) 데이터 융합, 멀티카메라 기반 객체 인식, RISC-V 기반 로보틱스 칩 설계 등으로 지리 공간 정밀도와 자동화 시스템 대응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메사리 리서치의 평가에 따르면, 지오드넷은 2025년 현재 DePIN 네트워크 중 가장 앞선 기술력과 실사용 기반 유틸리티를 확보한 프로젝트 중 하나다. 장기적으로 로보틱스, 자율주행, 드론, 정밀 농업 등 실제 수요 기반 산업에서 주도적 역할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GEOD의 시장 재평가 여부에 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