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에코맵] 암호화폐 섹터 일제 급락…스테이킹 –21%, 이더리움·오라클 급반전

| 정민석 기자

전주 강세를 주도했던 주요 암호화폐 섹터가 이번 주 일제히 급락하며 시장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20일 기준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으로 큰 폭의 조정을 보이며 다수 섹터가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가장 큰 낙폭을 보인 부문은 ▲스테이킹 서비스(–21.1%)로, 전주(+35.0%) 급등세에서 불과 일주일 만에 급락으로 전환했다.

이어 ▲NFT 애플리케이션(–18.0%) ▲브리지(–17.9%) ▲데이터 가용성(–17.1%) ▲RWA(–16.2%) ▲디파이(–16.0%) 등이 줄줄이 하락했는데 이 역시 전주(+20% 이상) 강세에서 빠르게 반락한 흐름이다.

▲AI(–15.3%) ▲비트코인 생태계(–15.0%) ▲퍼페추얼 DEX(–15.0%) ▲게이밍(–14.6%) ▲밈코인(–14.5%) ▲이더리움(–14.0%)도 모두 두 자릿수 낙폭을 기록했다. 특히 이더리움은 전주(+24.8%) 급등세의 반작용으로 매수세가 크게 꺾였다.

▲파일 저장(–14.0%) ▲DePIN(–13.8%) ▲데이터 서비스(–13.3%) ▲유틸리티 및 서비스(–13.1%) ▲가치 저장(–12.3%)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11.1%) 역시 동반 하락하며 전주 상승세가 무너졌다.

그 외 ▲소셜(–9.8%) ▲1세대 스마트컨트랙트(–9.2%) ▲비트코인(–8.4%) ▲오라클(–2.6%) ▲거래소 토큰(–2.3%)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오라클은 전주(+38.9%) 시장을 압도하던 강세에서 가장 가파른 온도 차를 보이며 조정세로 돌아섰다.

반면 ▲프라이버시 코인(+1.2%)만이 유일하게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전주(–7.5%)에서 하락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방어적 성격이 부각되며 오히려 상승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