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생태계의 총예치액(TVL)이 1562억46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22일 기준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디파이 생태계의 총예치액(TVL)은 전일 대비 0.76% 하락한 1562억4600만 달러(약 216조5100억원)로 집계됐다.
전주(1535억8100만 달러) 대비 약 1.74% 증가한 수치다. 연초 기록인 1172억2000만 달러와 비교하면 약 33% 이상 늘어난 수준으로, 장기적으로는 뚜렷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디파이 TVL / 디파이라마체인별 점유율을 보면 이더리움이 59.64%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뒤이어 ▲솔라나(7.79%) ▲비트코인(5.05%) ▲BNB체인(5.02%) ▲트론(3.96%) ▲베이스(3.03%) ▲아비트럼(2.31%) ▲하이퍼리퀴드(1.43%) ▲수이(1.31%) ▲아발란체(1.24%) 순으로 나타났다.
주간 변동률을 보면 ▲BSC(+3.24%) ▲비트코인(+2.90%) ▲하이퍼리퀴드(+2.89%) ▲수이(+2.06%) ▲아발란체(+0.43%)가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이더리움(–5.80%) ▲트론(–5.24%) ▲베이스(–4.65%) ▲솔라나(–2.53%) ▲아비트럼(–2.38%)은 하락세를 보였다.
TVL 기준 디파이 부문별 순위
▲유동성 스테이킹이 774억5000만 달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출은 742억2700만 달러, ▲브리지는 520억20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리스테이킹은 284억3600만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229억4600만 달러 ▲캐노니컬 브리지는 198억2700만 달러 ▲리퀴드 리스테이킹은 157억2200만 달러 ▲이자(Yield)는 149억2900만 달러 ▲실물자산 토큰화(RWA)는 148억7100만 달러 ▲베이시스 트레이딩은 147억9700만 달러 수준으로 집계됐다.
주간 기준 TVL 상승률을 보면 ▲이자(Yield) 부문(+7.68%) ▲베이시스 트레이딩(+5.09%) ▲RWA(+2.06%) 등이 두드러졌으며, ▲리스테이킹(–5.37%) ▲유동성 스테이킹(–7.06%) ▲리퀴드 리스테이킹(–9.48%) ▲브리지(–6.02%) ▲캐노니컬 브리지(–6.01%) 등은 하락세를 기록했다. 전반적으로는 일부 부문에서 뚜렷한 반등이 나타난 가운데, 스테이킹·브리지 계열은 약세가 이어졌다.
TVL 기준 디파이 프로토콜 순위
최대 디파이 프로토콜은 ▲아베(AAVE, 대출)로, TVL은 376억2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간 기준 –5.39%를 나타내며 조정을 받았다.
2위는 ▲리도(Lido, 유동성 스테이킹)로, TVL은 374억9500만 달러이며 주간 –7.99% 하락했다. 3위는 ▲아이겐레이어(EigenLayer, 리스테이킹)로, TVL은 200억7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주간 –8.38%를 보였다.
4위는 ▲바이낸스 스테이킹 ETH로 TVL은 135억5700만 달러, 주간 –7.20%였으며 5위는 ▲에테나(Ethena)로 TVL은 119억1600만 달러, 주간 +6.89%를 기록했다.
10위권 중 주간 기준 TVL 변동률이 가장 높은 프로토콜은 ▲펜들(Pendle)(+13.57%)과 ▲에테나(Ethena)(+6.89%)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스파크(Spark)(–9.20%)와 ▲이더파이(ether.fi)(–9.38%)는 약세를 보였다. 대체로 상위권 프로토콜 내에서도 흐름이 엇갈리며 혼조세가 나타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