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 머니] ② 정부와 중앙은행이 만든 ‘화폐의 착각’

| 토큰포스트

비트코인을 단순한 투자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은 이제 한계에 다다랐다. 《리얼 머니, 더 비트코인》은 비트코인이 왜 단지 ‘디지털 자산’을 넘어서, 진짜 ‘돈’이 되어야 하는지를 화폐의 역사, 기술의 구조, 철학적 통찰을 통해 차근차근 증명해나간다. 이 책은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하며, 자유롭고 예측 가능한 화폐 질서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토큰포스트 북클럽에서는 《리얼 머니, 더 비트코인》을 바탕으로 5편의 연재를 통해 ‘리얼머니’로서의 비트코인을 재조명하고, 우리가 선택해야 할 미래의 돈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우리는 정부가 발행한 화폐를 ‘진짜 돈’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리얼 머니, 더 비트코인》은 그 전제를 뿌리부터 뒤흔든다.

“국가가 만든 돈은 진짜가 아니다. 단지 믿으라고 강요된 약속일 뿐이다.”

중앙은행이 설계한 돈의 착시

법정화폐는 더 이상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 과거에는 금이나 은과 같은 실물 자산이 화폐의 신뢰를 보장했지만, 지금은 국가가 뒷받침해줄 거라는 막연한 신뢰에 기대어 작동한다.

이 시스템은 “돈은 곧 국가의 권력”이라는 인식을 강화시키고, 그 과정에서 개인은 통제와 의존의 관계 속에 갇히게 된다.

화폐 발행의 독점은 권력의 기원이다

오늘날 중앙은행은 통화 발행을 통해 이자율을 조정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며, 경기 흐름을 ‘조절’한다.
하지만 《리얼 머니, 더 비트코인》은 말한다.

“이 시스템은 태생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도하고, 부의 격차를 확대시킨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위기 때마다 돈을 더 찍으며 시스템을 유지하지만, 그 결과는 늘 개인의 자산이 희석되고 구매력이 하락하는 구조다. 돈을 더 찍는 순간, 당신의 시간과 노동의 가치도 함께 희석된다.

법정화폐는 선택이 아니라 강제다

화폐는 언제나 ‘법정통화법’이라는 법률적 강제에 기반하고 있다. 국가는 세금, 공공요금, 법적 계약을 오직 자신이 발행한 화폐로만 인정하고, 이로 인해 국민은 다른 선택지를 가질 수 없도록 시스템이 설계되어 있다.

이 책은 이를 “선택 없는 돈”, “통제된 자유”라고 표현한다. 우리가 쓰는 돈이 진짜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이다.

비트코인은 통화의 ‘자유’를 회복시킨다

비트코인은 아무도 강요하지 않지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중앙은행도, 정부도, 기업도 개입할 수 없다.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규칙이 적용되며, 그 규칙은 오직 코드와 수학에 기반한다.

이것은 ‘돈은 국가의 것’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난 최초의 글로벌 통화 시스템이다. 비트코인은 강제되지 않기에 오히려 더 자유롭고, 어떤 권력도 그것을 막을 수 없기에 더 강력하다.

마무리 – 우리는 지금도 화폐에 속고 있다

《리얼 머니, 더 비트코인》은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이 믿는 돈은 진짜인가, 아니면 믿으라고 설계된 것인가?”

정부와 중앙은행이 만든 시스템은 당신이 선택할 수 없는 돈을, 선택했다고 믿게 만든 구조다.

비트코인은 그 거짓된 선택을 깨고,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진짜 돈’의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 다음 연재에서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통화가 아니라, 기술적으로 어떻게 그 자유를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 책 구매 및 북클럽 콘텐츠 보기 《리얼 머니, 더 비트코인》 – 화폐의 본질을 꿰뚫는 비트코인 철학의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