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더들이 모여 ‘온체인 금융의 미래’를 공유하는 무대 ‘온체인 심포지엄 2025’의 막이 올랐다.
10일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진행되는 ‘온체인 심포지엄’은 웹3 핵심 의제로 떠오른 ‘온체인 금융의 미래’를 B2B 관점에서 조명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블록체인 미디어 ‘토큰포스트’가 주최하고 코인리더스, 테더, 크립토닷컴이 공동 주관한다.
이번 행사는 개방적이고 투명한 온체인 환경으로 금융 질서와 가치가 재편되는 흐름을 들여다보는 자리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온체인 금융 시스템’의 주축인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 토큰화(RWA), 토큰증권,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온체인 전환 과정에서 풀어야 할 ▲국경 간 결제 ▲유동성 관리 ▲커스터디(custody) ▲RWA 연계 과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비자, 리플, 레이어제로, 스텔라, 아발란체, 앱토스, 온도, 카이코, 타이거리서치, 테더, 크립토닷컴 등 주요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전통 결제망과 온체인 결제의 결합 사례 ▲스테이블코인 국경 간 결제 및 신흥시장 활용 사례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및 거래 인프라 ▲해외 기관의 실물자산 토큰화(RWA) 투자 사례 등 풍성한 웹3 전환 사례와 협업 내용을 공유한다. 사회는 토큰포스트 전략자문 티모시 신이 맡았다.
10일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온체인 심포지엄 2025’에서 발언하는 김지호 토큰포스트 CEO / 토큰포스트이날 개회사에서 김지호 토큰포스트 대표는 "우리는 지금, 블록체인이 단순한 기술을 넘어 금융 질서의 중심으로 진입하는 거대한 변곡점에 서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스테이블코인, RWA(실물자산 토큰화), 커스터디, 온체인 결제 인프라는 이제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금융권이 반드시 준비해야 할 현실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늦게 움직이는 금융은 주도권을 잃는다"며 "먼저 뛰어드는 자만이 시장의 질서를 새로 쓰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온체인심포지엄은 바로 그 전환의 무대이자 한국이 글로벌 금융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출발선"이라고 평가했다.
10일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온체인 심포지엄 2025’에서 발언하는 패트릭 윤 크립토닷컴 한국 총괄 / 토큰포스트이어 패트릭 윤 크립토닷컴 한국 총괄이 연단에 올라 환영사를 전달했다.
패트릭 윤 크립토닷컴 한국 총괄은 "9월이 한국 블록체인의 달이 될 것 같다"고 발언했다. 그는 "많은 핀테크 시장이 한국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졌다"며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산업을 키우고 확장하는 노력이 이어지면서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시장인 한국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4년간 지켜보기만 했던 해외 기업들이 현재를 국내 진입 기회로 보고 있다"면서 "반면 한국 기업들은 지원적인 환경이 부족해 오히려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또 그는 글로벌 시장 현황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윤 총괄은 "크립토닷컴 리서치에 따르면 5년 전 암호화폐 소유자는 1억 명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5억8000만 명에 달한다"며 "향후 5년 안에 그 수치가 5배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소비자 보호와 규제 준수에 충실하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그는 "국내 기업들이 국제 수준에 맞는 경쟁력을 확보해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전략과 도입(Strategy & Adoption) ▲법률과 규제(Legal & Compliance) ▲인프라와 기술(Infrastructure & Tech) 총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세션은 패널토론 형식으로 진행돼 각 기관과 기업의 실제 경험이 교차하며, 한계와 가능성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공유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전략과 도입 글로벌 발행·유통, 기업 결제, 송금, 실시간 정산을 중심으로 실무 사례 공유
법률과 규제 유럽 미카(MICA), 은행비밀법(BSA), 미 국세청(IRS) 관련 회계·세무 기준과 사례
인프라와 기술 온체인 수탁, 오라클, 블록체인 설계, 스마트 컨트랙트 전략
아울러 국내 5대 블록체인·핀테크 산업 협회인 ▲한국핀테크산업협회(KORFIN) ▲오픈블록체인·DID협회(OBDIA) ▲한국웹3블록체인협회(KWBA) ▲디지털융합산업협회(DCIA)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KBIPA)가 한자리에 모여 의미를 더했다.
국내 정책·산업 최전선에 있는 실무자들이 현장에서 작동하는 전략과 사례를 공유하며 글로벌 흐름을 국내 현실에 맞게 조율하는 동시에 한국이 변화의 출발점으로 부상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을 예고한다.
행사 전 과정에 동시통역이 제공된다. 모든 세션을 마친 뒤에는 VIP 디너가 마련돼 있어 참가자 간 교류 및 협업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이 이어진다.
온체인 심포지엄 행사의 자세한 내용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s://onchainsymposium.com/kr
트위터 https://x.com/tokenpost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tokenpost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