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W2025] 글로벌 패널 "DAT, 새로운 자본 혁신 모델...ETF·헤지펀드 한계 넘는다"

| 하이레 기자

"디지털자산 재무전략 기업(DAT)이 ETF를 넘는 새로운 자본 카테고리로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가 KBW2025 현장에서 쏟아졌다.

24일 서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서 열린 'KBW2025: IMPACT'에서 '비트코인 국채를 넘어: 기관화되는 DATs'를 주제로 한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패널토론은 벤 스트랙 블록웍스 수석 기자가 사회를 맡았으며 제이미 레버튼 리저브원 CEO, 자커리 왕 어웨이큰 파이낸스 창립 파트너, 마누엘 스토츠 톤 스트래티지 컴퍼니 회장이 참여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등을 보유·운용하는 '리저브원'의 CEO 제이미 레버튼는 연방 정부의 비트코인 전략적 준비금과 디지털 자산 준비금에서 영감을 얻어 비트코인을 넘어 다양한 디지털 자산 재무 전략을 구사하게 됐다고 밝혔다. DAT의 주요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다양한 구조와 전략을 설계하고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 기관 부문, 월가 금융권, 규제기관 인사 등으로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레버튼 CEO는 "ETF는 수동적 구조인 반면 DAT는 적극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라고 진단했다. DAT는 ETF와 달리 수익률을 창출하고 장기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벤처 기회에도 할당이 가능하다며 "이런 점에서 지난 몇 년간 가장 수익률이 좋았던 암호화폐 헤지펀드와 유사하면서도 보다 자본 형성이 수월한 구조"라고 강조했다.

TON 트레저리 기업인 '톤 스트래티지 컴퍼니의 마누엘 스토츠 회장은 "TON은 10억 사용자 기반 텔레그램 생태계의 단일 디지털 화폐로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면서 블록체인을 잘 알지 못하는 투자자들까지 자연스럽게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스테이킹 보상을 통한 긍정적인 현금흐름, 제미니 8번째 직원 출신인 CFO의 암호화폐 특화 전문성 지원 등 상당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면서 "TON 미상장 시장이 있고 ETF가 없는 상황에서 TON에 대한 억눌린 수요가 실제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스토츠 회장은 "DAT는 자본이 약한 손에서 강한 손으로 이동하는 통합을 이끌고 있다"면서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간 접근성을 높이며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관급 웹3 구조화 금융을 제공하는 어웨이큰 파이낸스의 창립 파트너 자커리 왕은 "전통 웹을 제도적 자본으로 끌어들이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DAT는 약세장을 견딜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운영 방식을 위한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현재 피델리티·블랙록 같은 장기 투자자들과 논의하고 있다면서 "DAT는 전통 비즈니스의 주가수익비율, 매출배수 같은 지표가 익숙한 기관 투자자들에게 대차대조표와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를 결합해 수익성을 높일 하이브리드 모델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 "DAT는 ETF보다 구조적으로 유연하며 운영자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전통 기업이 회사채 발행으로 부채를 조달하듯 암호화폐를 통해 더 저렴하고 축적적인 자본 비용을 얻을 수 있다"며 "채권 발행으로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면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는 플라이휠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 리저브원 CEO는 "전통 기관일수록 신중한 경향이 있고 규제 명확성이 중요하다"며 "워싱턴의 명확성 작업은 기관 투자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클래리티법과 국가 준비금 제도도 같은 맥락에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DAT는 이제 막 시작된 새로운 범주이며 이미 통합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 상장된 채굴사가 30여 개 존재하듯 DAT도 유사한 경로를 따를 것"이라며 "투자자에게 다양한 전략을 제공하고 건강한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톤 스트래티지 회장도 "기관 투자자와 크립토 투자자가 어우러진 조합은 매력적"이라며 "규제 진행에 따라 DAT는 전통 자본과 암호화폐 자본을 잇는 중요한 자본 구조 혁신 모델로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토츠 회장은 "자본 구조의 정교함과 부채를 둘러싼 금융 혁신을 통해 더 숙련된 비즈니스 모델이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며 "자본 시장 은행가로서 매우 기대된다"고 전했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5: IMPACT(KBW2025: IMPACT)'가 9월 23~24일 서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서 진행 중이다. 팩트블록이 주최하고 빗썸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글로벌 규제 기관, 주요 블록체인 기업, 금융사 및 투자자들이 참여해 디지털 자산과 금융·기술 산업의 주요 의제를 다룬다.

올해 KBW2025: IMPACT에서는 '워싱턴과 서울의 만남, 가상자산과 AI의 융합(Where Washington Meets Seoul, and Crypto Meets AI)'을 메인 슬로건으로 내걸고 글로벌 규제, 인공지능(AI), 실물자산 토큰화(RWA), 기관 금융과 블록체인의 교차점을 주제로 다양한 세션이 진행된다. 행사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 백악관 디지털자산위원회,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테더·서클 등 글로벌 기업 관계자, 국내 주요 정당과 시중은행 관계자 등이 참석해 산업 변화와 전망을 공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