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스테이킹 시장에서 신규 예치가 늘었지만 대규모 출금이 이어지며 주간 순유출이 발생했다. APR은 안정세를 유지했다.
듄애널리틱스(@hildobby)에 따르면 9월 29일 기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예치된 스테이킹 총량은 3602만3510 ETH로, 전체 이더리움 유통량의 약 29.05%를 차지하고 있다.
출금 기능을 구현한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현재까지 스테이킹 순유입량은 1458만5075 ETH, 보상분을 제외한 순유입량은 1785만7520 ETH로 집계되고 있다.
지난 9월 22일부터 9월 28일까지 한 주 동안 6만758ETH가 신규 예치됐다. 이는 전주(1만2745ETH) 대비 약 376.62% 증가한 수치다.
지난 23일 신규 예치(2만3381ETH)가 주간 예치의 38.5%를 차지했다. 24일에도 2만2013ETH로 상당 물량이 예치됐다. 9월 25일과 27일, 28일에는 신규 예치가 각각 299ETH, 889ETH, 551ETH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보상 출금은 1만7927ETH로 전주(1만6751ETH) 대비 약 7.02% 증가했다. 원금 출금은 43만6284ETH로 전주(50만832ETH) 대비 약 12.89% 감소했다.
특히 지난 9월 28일과 23일에 각각 15만3120ETH, 11만2672ETH의 대규모 출금이 발생하고 22일에도 5만6956ETH의 출금이 이어져 주간 총 출금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신규 예치가 증가했으나 원금 출금이 지속되어 1주간의 전체 순변동은 -39만3453ETH로 집계됐다.
최근 일주일간 이더리움 스테이킹 연 수익률은 2.86~2.87% 범위에서 좁게 움직이며 사실상 횡보세를 이어갔다. 밸리데이터큐에 따르면 APR은 23~25일까지 2.87%를 유지하다가 26일 일시적으로 2.86%로 내렸다가 이날 다시 2.87% 수준을 회복했다. 미세한 조정은 있었으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아 네트워크 수익률이 단기적으로 안정 구간에 진입했음을 보여준다.
스테이커 현황
현재 활성 검증자 수는 103만8985명 수준이다. 전주 대비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스테이킹을 새로 시작하려는 입장 대기열(Entry Queue)에는 21만2477ETH가 대기 중이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3일 17시간이다.
스테이킹을 해제하려는 퇴장 대기열(Exit Queue)에는 208만2705ETH가 대기 중이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36일 4시간이다. 퇴장 후 실제 출금 주소로 자금이 이동되기까지 걸리는 스윕 지연(Sweep Delay)은 평균 9.0일이다.
최근 일주일간 이더리움 스테이킹 연 수익률은 2.86~2.87% 구간에서 사실상 횡보세를 보였다.
밸리데이터큐에 따르면 APR은 23~25일 2.87%를 유지하다가 26일 2.86%로 소폭 하락했으나 다시 2.87%를 회복했다. 미세한 변동은 있었지만 뚜렷한 방향성은 나타나지 않아 네트워크 수익률이 단기적으로 안정 구간에 들어섰음을 시사한다.
스테이킹 유형별 점유율 / 듄애널리틱스(@hildobby)단일 스테이커 순위를 보면 ▲리도(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가 약 840만1917ETH를 예치하며 23.2%의 최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어 ▲바이낸스가 약 328만9328ETH(9.1%) ▲코인베이스가 245만2419ETH(6.8%)로 각각 2, 3위를 기록 중이다.
▲이더파이(유동성 리스테이킹 프로토콜)는 209만7881ETH(5.8%) ▲킬른(스테이킹 풀)은 155만5937ETH(4.3%) ▲피그먼트(스테이킹 풀)는 149만6480ETH(4.1%)로 뒤를 이었다.
최근 1개월 기준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상위 스테이커는 ▲바이낸스(+4%) ▲에버스테이크(+1%)다. 반면 ▲피그먼트(–9%) ▲블록대몬(–8%) ▲이더파이(–7%)와 ▲킬른(–7%)은 월간 기준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편집자주] 이더리움은 2022년 9월 지분증명(PoS)으로 전환되며 32 ETH를 예치해 검증자가 되고 보상을 받는 스테이킹 구조를 도입했다. 2023년 4월 샤펠라 업그레이드를 통해 출금 기능이 활성화됐다. 리도·로켓풀 등 유동성 스테이킹의 등장으로 소액 참여가 가능해졌고, 예치 자산의 유동화와 디파이 활용까지 실용성도 확대되고 있다. 스테이킹 흐름은 이더리움의 보안과 가치 창출 구조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예치량·출금 추이 ▲검증자 수 ▲보상률 등을 함께 살펴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