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 분석기관이 최근 해킹 사건에도 불구하고 SK텔레콤의 기업 가치를 여전히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주가 반등 가능성을 제시했다.
미국의 투자 전문 매체 '시킹알파(Seeking Alpha)'는 10월 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SK텔레콤을 “저평가된 통신주”로 지목하고, 해킹 사태의 영향은 제한적이며, 인공지능(AI) 분야 확장성과 재무 건전성을 고려할 때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이번 해킹 사고는 단기적 고객 이탈을 유발했지만, 장기적인 기업 펀더멘털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 주요 판단 근거다.
시킹알파는 특히 해킹 사건 이후의 고객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5세대(5G) 가입자가 사고 전의 1,720만 명에서 1,700만 명으로 소폭 줄었을 뿐이고, 초고속인터넷이나 IPTV 가입자 수 역시 큰 폭의 감소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şirket은 이 과정에서 발생한 대규모 일회성 비용도 ‘고객 신뢰 회복’이라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합리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기업이 재발 방지 및 신뢰 회복을 위해 보안 강화에 선제 대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보고서는 SK텔레콤이 추진 중인 AI 및 데이터센터 사업 역시 향후 성장 전망을 밝게 하는 요소로 꼽았다. 현재 SK텔레콤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울산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립 중이며, 이 시설은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과 퍼플렉시티(Perplexity)에 대한 1억 달러, 1천만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사례도 글로벌 미래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투자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또한 SK텔레콤의 재무 구조에 대해서도 강점을 언급했다. 보고서는 “동종 업계 대비 부채 비율이 낮아, 해킹이라는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 중”이라며, 이러한 재무 유연성이 향후 전략적 투자에 있어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인구 감소와 같은 구조적 요인이 통신 시장 성장에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SK텔레콤이 성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규 서비스 개발과 함께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을 곁들였다.
이러한 분석은 국내 증권가의 시각과도 일치한다. 하나증권 김홍식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SK텔레콤을 국내 통신사 중 최우선 추천 종목으로 제시했다. 특히, 해킹 이슈가 사실상 일단락됐고, 수익성 전망도 개선 여지가 있다는 점, 여기에다 국내 기준금리 하락 가능성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감까지 더해 투자 매력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분석은 향후 SK텔레콤이 단기 악재를 넘고, AI와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업으로 전환해가는 길목에서 주가 재평가를 받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통신 본업에 더해, 미래 기술 투자와 글로벌 협업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