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4일 출근길 팟캐스트 — 트럼프 내부자 거래 의혹 폭발, 비트코인 11만 5천 달러 유지, 아몬디·JP모건·씨티은행 움직인다!

| 토큰포스트

00:00
토큰포스트 출근길 브리핑 오늘 코인 시장의 주요 뉴스입니다.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토큰포스트 기사들 보면서요. 암호화폐 시장의 최신 동향 그리고 좀 주목할 만한 소식들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시장보면 약간 혼조세 이런 느낌 속에서 몇 가지 좀 흥미로운 움직임들이 보이는데요. 특히 그 거액 네버리지 포지션 청산 소식도 있고 또 트럼프 대통령 관련해서 내부자 거래 의혹 이게 또 불거졌어요. 그런데 또 다른 쪽에서는 전통 금융기관들 움직임도 계속 나오고 있고요. 자 그럼 오늘 저희가 좀 주목해야 할 핵심 내용들 하나씩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먼저 시장 전반적인 분위기부터 짚어보죠. 암호화폐 시장이 전반적으로는 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 말씀이신 거죠? 네 맞아요. 오늘 10월 14일 오전 기준으로 보면요.

00:54
비트코인 BTC는 전날 대비 한 0.61% 정도 소폭 상승해서 11만 5736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원화로는 이게 약 1억 6509만 원 정도 되네요. 아 1억 6500만 원 선이군요. 이더리움은 어떤가요? 이더리움. ETH는 상대적으로 좀 더 올랐어요. 3.36% 상승해서 4276달러 원화로는 약 610만 원 수준입니다. 이더리움 상승률이 꽤 되네요. 그럼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은 대체로 좀 오른 건가요? 네. 대체로 보면 XRP가 3.2% 솔라나는 6% 넘게 상승했고요. 그런데 또 비앤비 같은 경우는 1.8% 정도 하락했어요. 그러니까 딱 말씀하신 대로 혼조세죠. 그렇군요.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3조 9천 570억 달러 우리 돈으로 하면 5천 644조 원 정도 규모고요.

01:51
24시간 거래량은 2천 492억 달러 약 355조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여기서 좀 재밌는 점은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 있잖아요. 이게 58.31%로 약간 0.04% 정도 감소했어요. 반면에 이더리움 점유율은 13.05%로 0.24% 증가했고요. 미묘한 변화네요. 아주 큰 건 아니지만, 시장 안에서 자금 흐름에 약간 변화가 있다. 이 정도로 볼 수 있겠죠. 디파이나 파생상품 거래량은 늘어났는데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은 좀 줄었다고요? 네, 맞습니다. 디파이 시장하고 파생상품 시장 거래량은 증가세를 보였는데 스테이블 코인 쪽 거래량은 소폭 감소했어요. 알겠습니다. 그럼 이제 주요 뉴스로 넘어가 보죠.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소식은 역시 그 트럼프 관련 뉴스인 것 같은데요. 내부자로 추정되는 주소가 또 비트코인 숏 포지션을 잡았다.

02:50
그것도 엄청난 규모로요. 네. 이게 솔리드 인텔에서 나온 이야기인데요. 무려 3억 4천만 달러 우리 돈으로 하면 약 4800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 숏 포지션을 새로 열었다는 거예요. 4800억. 숏 포지션이면 가격 하락에 배팅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이 주소가 좀 논란이 되는 게 지난주 폭락 직전에도 맞습니다. 바로 그 주소. 요소예요. 지난주 시장 폭락 직전에도 BTC랑 ETH 숏 포지션으로 2억 달러 거의 3천억 원 가까운 수익을 거둔 걸로 알려지면서 이게 뭐냐 내부 정보 이용한 거 아니냐 이런 의혹이 아주 커졌었죠. 그런데 또 이렇게 큰 규모로 숏을 잡았다니 네, 상당히 큰 규모죠. 특히 이전에 비슷한 움직임으로 큰 수익을 얻었다는 점 때문에 시장에서는 계속 의혹에 눈추리를 보내고 있는 거죠. 이게 뭐 정말 시장 예측을 잘한 건지 아니면 공개되지 않은 정보로 가지고 움직이는 건지는 저희가 알 수는 없지만, 그렇죠?

03:45
어쨌든 시장 변동성에는 분명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움직임이라는 건 확실합니다. 관련해서 그 지난번에 트럼프 발언 직전에 숏 포지션으로 또 엄청난 수익 올렸다고 의혹 받았던 사람 있잖아요. 그 하이퍼 리퀴드 고래. 아 네. 네. 가래친 파산한 비트포렉스 전 CEO였죠. 네. 맞아요. 그 사람은 자기는 트럼프 일가랑 관련 없다고 부인했다는 소식도 있네요. 네, 더블록 보도인데요. 가렛진이 트럼프의 그 대중 100% 추가 관세 부과 발언 그 이전에 10배 레버리지로 BTC 숏 포지션을 잡아서 수익 올린 건 맞는데 트럼프 쪽과는 전혀 관련 없다고 선을 그었어요. 내부자 거래가 아니라는 거죠. 본인은 그렇게 말했지만, 참 타이밍이 너무 절묘해서 시장 참여자들 입장에서는 좀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그렇죠? 이런 거액 거래랑 또 정치적인 발언 시점이 딱 맞아떨어지는 상황 자체가 의심을 살 수밖에 없으니까요. 네.

04:41
이런 약간 불안한 소식과는 또 다르게 전통 금융 쪽에서는 계속 긍정적인 움직임이 나오고 있는 것 같아요.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아몬디오 여기도 비트코인 ETF를 준비한다고요? 네 맞습니다. 프랑스 매체 더빅웨일 보도인데요. 운용자산이 무려 3800조 원 어마어마한 곳이죠. 여기서 비트코인 ETF 출시를 준비 중이고 내년 초를 예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와 3800조. 블랙록 성공에 좀 자극을 받은 걸까요? 네. 그렇게 해석하는 게 자연스럽겠죠. 블랙록의 IBIT, ETF가 워낙 성공적이었으니까요. 우리도 이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 뭐 이런 판단인 것 같습니다. 이런 거대 자산 운용사들이 계속 시장에 들어오는 건 암호화폐가 점점 더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는 신호고요. 장기적으로는 시장에 긍정적일 수밖에 없겠죠. JP모건이나 씨티은행 같은 미국 대형 은행들을 움직임이 있네요.

05:36
JP모건 디지털 자산, 글로벌 총괄, 스콕 루카스, 그리고 씨티은행 서비스 사업 부문 총괄, 비스월업 차터지 이 두 사람이 CNBC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인데요. JP모건은 앞으로 고객들한테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렇게 밝혔고요. 씨티은행은 2026년 안에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지금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커스터디면 이제 보건 서비스잖아요. 기관들 입장에서는 이게 중요할 텐데 JP물 모건이랑 CT 방식이 좀 다르다고요? 네, 그게 좀 흥미로운 지적인데요. JP 모건은 직접 보관하기보다는 외부 수탁업체를 좀 찾고 있는 것 같고요. 반면에 CT 은행은 네이티브 커스터디, 그러니까 은행이 직접 고객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방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하 어떤 방식이든 간에 이런 대형 은행들이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준비한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죠. 기관들의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아주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06:34
확실히 장기적으로는 기대감이 커지는 소식들이네요. 그런데 또 단기적으로는 시장이 여전히 좀 살얼음판이라는 걸 보여주는 소식도 있어요.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 규모가 꽤 컸다고요? 네 맞습니다. 코인글래스 데이터를 보면 지난 24시간 동안 약 814만 8천 달러 우리 돈으로 하면 1090억 원 정도 이 정도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됐습니다. 천억 원이 넘는군요. 그런데 이 중에서 대부분이 숏 포지션이었다고요? 네. 그게 좀 특이점인데요. 청산된 포지션의 82.79% 거의 67만 4600달러가 숏 포지션이었어요. 이건 결국 시장이 예상과는 다르게 상승세를 보이니까. 하락에 베팅했던 트레이더들이 큰 손실을 입었다는 걸 의미하죠. 코인별로 보면 이더리움 관련 청산액이 제일 컸고 그다음이 비트코인 솔라나 순서였네요. 거래소는 바이낸스. 바이비트 OKX 순이고요? 네.

07:31
특히 OKX랑 HTX 거래소에서는 숏 포지션 청산 비율이 엄청 높았어요. 각각 91.11%, 97.06%, 97%요 거의 다 숏 포지션이었다는 거네요. 그렇죠? 그 거래소들에서는 유독 하락을 예상했던 사람들이 많았는데 시장이 반대로 가면서 거의 뭐 강제 청산 당한 거죠. 이게 레버리지 거래가 잘 풀리면 수익이 크지만 반대로 가면 이렇게 위험하다는 걸 다시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물론 뭐 지난번 19억 달러나 2017년 대규모 청산에 비하면 작은 규모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좀 무섭네요. 네. 맞아요. 규모 자체는 예전보다 작지만 시장 단기 방향성 예측이 얼마나 어렵고 또 레버리지 투자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거죠. 네. 그 외에 또 간단하게 짚어볼 만한 소식들도 있을까요? 네. 몇 가지 더 있는데요. 우선 10억 USDT. 그러니까 테더 스테이블 코인이 새로 발행됐다는 소식이 웨이럴럿을 통해 나왔습니다.

08:29
보통 이건 시장 유동성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신호로 보죠. 10억 달러면 이것도 꽤 큰 규모네요. 네. 그리고 기술 보안 관련해서도 좀 흥미로운 소식이 있어요. 프라이베시 풀스 개발팀 0X 보호라고요. 여기서 토네이도 캐시 연관성 증명이라는 툴을 출시한다고 합니다. 토네이도 캐시 연관성 증명이요. 그게 뭔가요? 그 토네이도 캐시가 자금 섞는 믹서 서비스잖아요. 이게 불법 자금 세탁에 쓰인다는 비판이 많았는데 이 툴은 사용자가 자신의 토네이도 캐시 이용 내역이 뭐 불법 활동과 연관된 블랙리스트 주소와는 관련 없다는 걸 증명할 수 있게 도와준대요. 프라이버시하고 규제 사이에서 좀 균형을 찾으려는 시도 같아요. 아, 의미 있는 기술이네요. 보안 관련 툴도 있다고요. 네. 화이트 팀 연합인 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실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피싱 사이트 신고를 위한 검증 가능한 피싱 리포터 툴을 공개했습니다.

09:26
요즘 피싱이 워낙 교묘하니까 이런 걸 좀 더 효과적으로 잡아내려는 거죠. 사용자 보호를 위한 노력이네요. 아 그리고 코인 베이스 쓰시는 분들은 이거 알아두셔야겠어요? 거래 중단 공지가 있네요. 네 맞아요. 한국 시간으로 10월 25일 밤 11시부터 약 2시간 동안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한다고 합니다. 이때는 코인 베이스 모든 플랫폼에서 거래가 중단되니까요. 혹시 거래 계획 있으시면 참고하셔야겠습니다. 아스터 에어드롭 관련해서도 뭔가 있었군요. 네. 약간의 해프닝이었는데요. 원래 클레임 예정 시간보다 좀 일찍 잠깐 열렸다가 다시 닫히는 일이 있었어요. 그래서 커뮤니티가 좀 술렁였는데 다행히 문제는 해결됐고요. 최종적으로는 오늘 10월 14일 한국 시간으로 저녁 9시에 정상적으로 오픈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 다행이네요. 마지막으로, 간밤 미국 증시는 좋았군요. 네.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S&P 500이 1.56%, 나스닥이 2.19%, 다우도 1.29% 올랐습니다.

10:25
일단 투자 심리에는 좀 긍정적이겠죠. 자 오늘 정말 다양한 소식들을 살펴봤는데요. 정리를 좀 해보면 암호화폐 시장은 혼조세 속에서도 비트코인이 11만 5천 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고 이더리움은 상대적으로 좀 강세를 보였어요.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트럼프 관련 내부 작업의 의혹이라든지. 또 실제로 대규모 숏 포지션이 청산되는 걸 보면 변동성 요인도 여전하구요. 맞습니다. 그런 불황 요인들이 있는 반면에 또 아몬디나 JP모건, 씨티은행 같은 전통 금융기관들의 움직임은 시장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거라는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죠. 그리고 뭐 프라이비시 강화 기술이나 보안 관련 도구들이 나오는 걸 보면 생태계 자체도 계속 발전하고 있고요. 이런 여러 가지 소식들이 막 얽혀 있으니까 시장 방향성을 예측하기가 참 더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 저희가 짚어드린 이런 정보들이 시장을 이해하시는 데 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1:22
마지막으로, 한 가지 좀 생각해 볼 점을 던져드리고 싶은데요. 최근 레버리지 청산, 특히 Short Position 청산이 많았다는 건 단기적으로 상승 압력이 있을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지만 동시에 보면 과도한 레버리지가 여전히 시장에 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잖아요. 그렇죠? 그럼 앞으로 아몬드나 뭐 다른 기관들이 내놓는 상품들이 실제로 시장에 나오고 또 관련 규제들이 좀 더 명확해질 텐데 이런 제도권의 흐름하고 시장 자체의 변동성, 특히 레버리지 같은 요인들이 만났을 때 과연 어떤 영향을 주고받게 될까? 이게 좀 궁금해지는 지점입니다. 서로 상쇄하면서 안정화될지 아니면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변동성을 만들지 이걸 계속 지켜봐야 할 것 같아요. 아주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토큰 포스트 모닝브리핑이었습니다. 저희는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