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자산이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통화 질서의 설계 언어이자, 국가 간 패권 경쟁의 도구로 변하고 있다. 이선민 인하대 교수의 《스테이블코인의 시대》는 디지털 통화 전환기를 ‘금융기술’이 아닌 ‘국가 전략’의 관점에서 분석한 국내 최초의 체계적 저작이다. 토큰포스트 북클럽은 이번 연재를 통해 비트코인 전략보유,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확산, 그리고 다가오는 디지털 금융 패권 경쟁의 본질을 다섯 편의 시리즈로 살펴본다. [편집자주]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 자리 잡았다면,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달러’로 자리 잡고 있다. 『스테이블 코인의 시대』에서 이선민 인하대 교수는 스테이블코인을 “중앙은행 없이도 작동하는 글로벌 화폐 네트워크”라고 정의한다.
그는 비트코인이 국가의 통제 밖에서 자산의 대안을 제시했다면,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시스템 안으로 들어가 ‘실제 돈처럼 사용되는 새로운 신뢰 구조’를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경제의 실질적 통화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를 법정화폐(주로 달러)에 고정한 암호화폐다. 가격의 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거래와 결제, 자산 운용이 가능한 ‘안정된 암호화폐’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선민 교수는 말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디지털 시대에 신뢰를 재설계한 화폐다.”
이제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거래소뿐 아니라, 국제 송금, 대출, 디파이(DeFi), 상거래 결제 등 실물 경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제 송금과 디파이 시장의 핵심 통화로
개발도상국에서는 은행 없이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해 달러 결제와 송금을 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다. 특히 테더(USDT)와 서클(USDC)은 은행보다 빠르고 저렴한 글로벌 송금 네트워크로 작동하고 있다.
디파이 시장에서는 모든 대출, 예치, 스테이킹의 기준 통화가 스테이블코인이다. 결국 비트코인이 만든 블록체인 경제의 기반 위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실질적 화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중앙 없는 신뢰’의 완성
비트코인은 신뢰를 수학에 맡겼고, 스테이블코인은 그 신뢰를 가격 안정성으로 증명했다.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구조는 간단하지만 강력하다. 사용자가 1달러를 예치하면, 동일한 가치를 지닌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 이 자금은 국채, 현금, 예금 형태로 보관되어 언제든지 상환 가능하다.
이 구조는 “1달러 = 1USDC”라는 신뢰를 법이 아닌 코드로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중앙은행보다 빠르고, 은행보다 효율적이다
스테이블코인은 24시간, 주말에도 작동하며, 지리적 제약이 없고, 중개 비용이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이선민 교수는 이를 “금융의 인터넷화”라고 표현한다.
“과거 이메일이 편지를 대체했듯, 스테이블코인은 송금과 결제를 대체하고 있다.”
이제 금융의 중심은 국가가 아니라 프로토콜이며, 신뢰의 중심은 기관이 아니라 데이터가 되고 있다.
마무리 –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의 ‘사용성’을 되찾았다
비트코인은 ‘탈중앙 자산’의 상징이라면, 스테이블코인은 ‘탈중앙 화폐’의 실체다. 『스테이블 코인의 시대』는 말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위의 달러이자, 국가의 허락 없이 작동하는 가장 강력한 통화 네트워크다.”
📖 다음 연재에서는, 이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미국의 금융 전략 속으로 편입되며 ‘달러 패권’을 다시 강화시키는지 살펴본다.
👉 책 구매 및 북클럽 콘텐츠 보기《스테이블 코인의 시대》 – 돈의 구조를 바꾸는 기술, 새로운 금융 질서의 설계도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