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서치 기관 코인이지(CoinEasy)에 따르면, RGB 메인넷 출시 직후 테더(Tether)가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USDT를 해당 프로토콜에서 직접 발행하겠다고 발표하며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아직 거래소나 지갑의 지원이 본격화되지 않은 초기 단계라는 점에서, 이는 비트코인 네트워크 위에 실현되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본격적 부활 시도로 평가된다.
RGB는 기존 사이드체인이나 일반적인 레이어2와 뚜렷이 다르다. RGB의 핵심은 ‘클라이언트 사이드 검증(Client-Side Validation)’이라는 메커니즘이다. 이는 데이터를 온체인이 아닌 사용자 단에서 확인하고, 비트코인은 순수한 상태정보의 앵커링만 담당함으로써 확장성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확보하는 방식이다.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호환되며,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설계 덕분에 거래 추적이 어렵고, 확장성도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코인이지 리서치는 이 점이 기존 Omni와 Liquid에서 테더가 경험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열쇠라고 분석한다.
테더는 그간 이더리움(ETH) 및 트론(TRX) 등 타 체인을 중심으로 USDT 유통을 확장해왔지만, 이번 RGB 채택은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세 번째 도전이다. RGB를 통해 USDT는 비트코인의 탄탄한 보안성과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실시간 결제 기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일 지갑 내에서 비트코인(BTC)과 USDT 모두를 운용할 수 있으며, 브리지나 제3자 커스터디 없이도 빠르고 저렴한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가능해진다. 특히 온체인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아 규제 저항성도 자연히 확보된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기술 복잡성으로 인해 초기 사용자 진입 장벽이 높고, 지갑·거래소 지원이 제한적인 데다, 프라이버시 중심의 설계가 당국 규제와 충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인이지 리서치(CoinEasy)는 RGB-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비트코인을 단순한 가치 저장 수단이 아닌 실제 화폐 네트워크로 탈바꿈시킬 중대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테더가 RGB를 공식 채택한 배경에는 블록체인 포트폴리오를 정리하는 전략도 있다. 테더는 Omni, 알고랜드, EOS 등 비주류 체인에 대한 지원을 종료하고 확장성과 호환성을 갖춘 프로토콜에 집중하는 중이다. RGB는 이러한 전략적 전환의 핵심 퍼즐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라이트닝 네트워크 성장과 지갑의 RGB 통합 추진 여부가 스테이블코인 유입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는 명제를 넘어 실사용 통화를 포함한 통합 금융 네트워크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프라이버시, 확장성, 빠른 결제라는 세 요소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RGB는 이런 필요조건을 상당 부분 충족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사용자 채택과 개발 생태계 확장이 이를 현실로 옮길 핵심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코인이지 리서치는 만약 이 실험이 성공할 경우, RGB를 통해 비트코인은 단순한 자산을 넘어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의 중심축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