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을 결제 플랫폼으로?…코인이지, RGB 브리지 기반 USDT 전송의 확장 가능성 조명

| 이도현 기자

글로벌 리서치 기업 코인이지(CoinEasy)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세계 최초 RGB 브리지를 통해 이더리움 기반 테더(USDT)를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전송한 시도를 집중 조명하며, 비트코인의 역할이 스테이블코인 결제 플랫폼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2025년 7월 17일 RGB v0.11.1 메인넷이 공식 출시되면서,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에서 스테이블코인과 NFT, 토큰 발행이 가능해졌다. 이어 약 한 달 뒤, Tricorn 팀(Utexo 소속)은 이더리움 기반 USDT를 비트코인 라이트닝으로 전송하는 첫 RGB 브리지 전송을 성공시켰다. 이로써 비트코인 생태계가 단순한 ‘가치 저장’ 역할을 넘어 ‘멀티 자산 결제망’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RGB 브리지는 이더리움에서 ERC-20 USDT를 브리지 컨트랙트에 락업한 뒤, 같은 수량의 RGB 기반 USDT를 발행하는 구조로 작동한다. 클라이언트 사이드 검증을 통해 각 지갑에서 데이터 유효성만 개별적으로 검증하고, 중요한 상태 정보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커밋해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확보한다. 특히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비용 측면에서 뛰어난 효율성을 보인다.

이 기술은 비트코인과 USDT 간 거래 흐름을 간소화하면서 발생하는 신뢰성과 비용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이다. 과거에는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기 위해 중앙화 거래소, 커스터디얼 브리지, 복수 체인을 거쳐야 했고 이는 사용자 경험과 보안 모두에 부담을 줬다. 코인이지는 RGB 브리지가 이런 인프라의 마찰을 현실적으로 해소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브리지의 의의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비트코인이 프라이버시 중심의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으로도 전개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RGB 네트워크에서 라이트닝 채널을 활용해 즉시 테더 전송 및 결제가 가능하며, 탈중앙 거래소, 대출·차입 플랫폼, 자동화 유동성 풀 등 다양한 DeFi 애플리케이션에 USDT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국경 간 송금에서도 초저비용과 신속한 거래, 프라이버시 보호라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만, 초기 기술인 만큼 여러 리스크도 존재한다. 브리지 컨트랙트의 보안 검증 여부, 사용자가 직접 백업해야 하는 검증 데이터 구조, 복잡한 지갑 인터페이스는 일반 사용자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유동성도 RGB, Taproot Assets, 이더리움 등 다양한 체인에 분산되어 있어 초기에 페그 안정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코인이지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소액 사용부터 시작하고 철저한 백업, 감사된 지갑 사용과 복구 절차 숙지를 권장했다.

RGB는 경쟁 프로토콜인 Taproot Assets와는 프라이버시 중심 구조, 클라이언트 사이드 검증, DeFi 친화적 확장성 등에서 차별화된다. 반면 Taproot는 라이트닝랩스 생태계와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향후 테더의 정식 지원을 통한 ‘네이티브 USDT 발행’을 예고하고 있다. 이로 인해 두 접근법 간 생태계 주도권 경쟁도 심화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RGB 브리지를 통한 USDT 전송 성공은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확장의 신호탄이자, 탈중앙 금융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활용 가능성의 출발점이다. 코인이지는 이 기술이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유동성을 증강시키고, 글로벌 결제 인프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보면서도, 아직은 실험적 단계인 만큼 사용자 주의가 필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