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7일 출근길 팟캐스트 —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4.5억 달러 청산·기관 발언 '주목'

| 토큰포스트

2025년 11월 7일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초반까지 하락하며 전반적인 약세 흐름을 나타냈다. 이더리움과 상위 알트코인도 대부분 동반 하락하는 가운데, 레버리지 포지션 대규모 청산과 함께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2.58% 하락한 10만1414.57달러를 기록했고, 이더리움은 3.87% 하락한 3321.86달러에 거래됐다. 리플(-4.89%), 솔라나(-3.64%), 도지코인(-4.26%), 카르다노(-3.04%), 트론(-1.87%), BNB(-1.38%)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대부분 하락했다. 전체 시가총액은 3조3770억 달러, 비트코인 점유율은 59.92%, 이더리움은 11.88%로 집계됐다.

24시간 기준 전체 거래량은 1648억 달러로 감소했고, 디파이 거래량은 204.53억 달러(-27.05%),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1609.25억 달러(-33.01%), 파생상품 거래량은 1조4650억 달러(-27.37%)로 주요 시장 부문 모두 위축됐다.

같은 기간 약 4억5200만 달러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됐으며, 이 중 85.6%가 롱 포지션이었다. 거래소별로는 하이퍼리퀴드가 총 1억2265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바이낸스(3569만 달러), 바이비트(2788만 달러), OKX(1819만 달러) 순이었다. 비트코인 청산액은 약 2억3113만 달러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이더리움(1억3305만 달러), 솔라나(1756만 달러)도 다수 청산되었다.

정책·경제 측면에서는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이 스테이블코인 공동개발 가능성을 시사했고, 자사 전략가는 비트코인이 금 대비 저평가되어 있으며 목표가는 17만 달러라고 언급했다. 한편 아크인베스트의 캐시 우드는 2030년 비트코인 가격 목표를 150만 달러에서 120만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기술적 변수로는 코인베이스 프라임 지갑에서 익명 지갑으로 약 4199 BTC(약 4.3억 달러)가 이체됐으며, 솔라나 체인에서는 7.5억 USDC가 신규 발행돼 유동성 상승 기대도 존재한다. 리플은 IPO 계획이 없음을 공식화했고, 수이는 컨센서스 엔진 미스티세티 v2를 출시했다.

국내에서는 김치 프리미엄 관련 정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환율이나 외환 흐름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