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디지털 자산 전문지 토큰포스트가 운영하는 BBR(Blockchain Business Review)이 디지털 자산 프리미엄 리포트 시리즈 'TokenPost Pulse'의 여섯 번째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번 호는 단순 거래소를 넘어 암호화폐 인프라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코인베이스(Coinbase)의 성장 전략과 투자 가치를 분석한다. BASE 레이어2 네트워크와 스테이블코인 USDC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 구축, 데리빗(Deribit) 인수를 통한 파생상품 시장 장악까지. 리포트는 "제도권 편입의 선봉장"이라는 코인베이스의 위상을 짚으며, 현 시점에서 '매수(BUY)' 의견을 제시한다. [편집자주]
"이건 단순한 거래소가 아니다. 금융 인프라가 바뀌고 있다."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를 두고 나온 평가다.
2012년 설립된 코인베이스는 2021년 나스닥 직상장으로 암호화폐 산업 역사를 새로 썼다. 그리고 2025년, 단순 거래소를 넘어 암호화폐 금융 생태계의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 내 압도적 지배력(60~65% 점유율)에 더해, 독자적 레이어2 네트워크 BASE는 TVL(총예치자산) 51억 달러를 달성하며 이더리움 메인넷을 추월했다. 서클(Circle)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스테이블코인 USDC 수익의 56%를 확보했고, 29억 달러 규모의 데리빗 인수로 세계 최대 암호화폐 파생상품 플랫폼으로 도약했다.
코인베이스, 세 개의 성장 엔진
코인베이스의 급부상에는 세 가지 핵심 동력이 있다.
첫째는 BASE 네트워크다. 2023년 8월 출시된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 BASE는 낮은 수수료(0.005달러)와 빠른 처리 속도로 개발자들을 끌어모았다. 2025년 1월에는 일일 거래량이 사상 처음으로 이더리움 메인넷을 추월해 23억 달러를 기록했다. 현재 617개의 디파이 프로토콜이 운영되며, 독자적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했다.
둘째는 스테이블코인 사업이다. 코인베이스는 서클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USDC 수익의 56%를 가져가며, 2025년 3분기에만 3억 5500만 달러의 안정적 수익을 창출했다. USDC 시가총액은 사상 최고치인 740억 달러를 돌파했고, BASE 네트워크 내 USDC 유통량도 41억 달러를 넘어섰다. 특히 쇼피파이(Shopify)와 파트너십을 통해 34개국 수백만 판매자가 USDC 결제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셋째는 파생상품 시장 진출이다. 2025년 8월 완료된 데리빗 인수로 코인베이스는 옵션 거래량 및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최대 암호화폐 파생상품 플랫폼이 되었다. 인수 후 47일 만에 5200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며 즉각적인 실적 기여를 보였고, 3분기에는 두 거래소를 합쳐 8400억 달러 이상의 파생상품 거래를 처리했다.
실적으로 입증된 성장... 3분기 순이익 473% 급증
코인베이스의 전략은 실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2025년 3분기 총 매출은 18억 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4.5%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4억 3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473% 급증했다. 주당순이익(EPS)은 1.50달러로 시장 예상치(1.05달러)를 43% 초과 달성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기관 투자자 유입이다. 3분기 기관 거래 수익은 1억 35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122% 급증했다. 블랙록(BlackRock) 등 주요 자산운용사의 비트코인 ETF 11개 중 9개가 코인베이스를 수탁업체로 선택하면서, 제도권 편입의 최대 수혜자로 떠올랐다.
스테이블코인 수익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스테이블코인 관련 수익은 3억 5500만 달러로 전체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코인베이스 플랫폼 내 평균 USDC 보유량은 150억 달러를 초과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SEC 소송 종료... 제도권 편입 가속화
2025년 2월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코인베이스에 대한 소송을 철회하기로 합의하면서, 규제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됐다. SEC는 벌금이나 사업 모델 변경 없이 소송을 철회했으며, 이는 암호화폐 규제 전략의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이어 6월에는 유럽연합(EU)의 MiCA 라이선스를 취득한 최초의 미국 거래소가 되면서, EU 27개 회원국에서 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영국, 아르헨티나 등 주요 시장에서도 라이선스를 확보하며 글로벌 확장 기반을 마련했다.
"만능 앱(Everything App)"으로의 진화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은 코인베이스를 암호화폐 부문의 선도적인 "모든 것을 거래하는 거래소(Everything Exchange)"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코인베이스는 DEX(탈중앙화 거래소) 통합을 통해 거래 가능한 현물 자산 수를 300개에서 4만 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했다. 토큰화된 증권 시장 진출도 적극 추진 중이며, AI와 블록체인 통합을 통한 "에이전틱 커머스(Agentic Commerce)" 실현에도 나섰다.
2025년 10월 출시된 Payments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에이전트가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고 스테이블코인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x402 결제 프로토콜은 10월에만 10,000% 이상의 거래량 급증을 기록했다.
"매수는 하되, 장기 관점으로"
토큰포스트랩스는 투자자에게 '매수(BUY)' 의견을 제시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코인베이스의 향후 5년간 연평균 매출 성장률을 12.5%, 조정 영업이익 성장률을 12.8%로 전망한다. 2025년 목표주가는 445달러로 현재 수준(319.3달러)의 거의 2배에 달한다.
다만 단기 변동성에 대비해 분할 매수를 통해 평균 단가를 낮추고 3~5년 이상의 장기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권고했다. BASE 네트워크의 수익성 달성 및 성장, 스테이블코인 시장 확대(2035년 4조 달러 전망), 파생상품 사업 강화 등 다양한 성장 동력이 중장기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리포트 전문은 해당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