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결제하는 시대 온다”…코인이지, 코인베이스 ‘x402’ 프로토콜 주목

| 이도현 기자

글로벌 블록체인 미디어 코인이지(CoinEasy)는 최근 심층 분석을 통해 AI 에이전트 경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기존 사람 중심 결제 모델에서 벗어난 새로운 결제 프로토콜 'x402'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AI가 자율적으로 자원과 서비스를 소비하며 비용을 실시간 처리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인프라로써 x402는 핵심 전환점을 예고하고 있다.

x402는 미국의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제안한 새로운 오픈 스탠다드로, HTTP 상태 코드 '402 Payment Required'를 활용해 자동화된 결제 흐름을 지원한다. 중개자 없는 온체인 결제 자동화를 주요 골자로 하며, 사람의 개입 없이도 AI가 데이터나 컴퓨팅 자원 등의 디지털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시된 결제 코드를 인식해 곧바로 비용을 지불한 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같은 방식은 현재 대부분의 웹이 요구하는 로그인, 카드 인증, 구독 설정처럼 사람의 행동을 전제로 하는 기존 결제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코인이지는 보고서를 통해 x402 기술은 단순히 결제를 최적화하는 도구가 아니라, AI가 독립적인 경제 주체로 기능하기 위한 핵심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AI가 24시간 자동으로 작동하고, 글로벌 환경에서 마이크로 단위로 작은 비용을 빈번히 결제해야 하는 상황에서, x402는 자동성과 확장성을 갖춘 결제 인프라로 강력한 대안을 제공한다는 평가다.

실제 적용 가능성도 속속 현실화되고 있다. 데이터 API, AI 모델 호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IoT 기기 간 실시간 마이크로 결제, 디지털 콘텐츠 단액 결제, 사용량 기반 SaaS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된다. 최근 일부 AI 프로젝트와 SaaS API 제공업체는 x402 적용을 검토 중이며, 그중 FLock은 해당 프로토콜의 빠른 통합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x402의 작동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혁신적이다. AI가 서버에 데이터나 리소스를 요청하면, 서버는 HTTP 402 상태 코드와 결제 요청 메시지를 반환한다. AI는 이에 응답하여 온체인으로 결제 정보를 포함한 재요청을 보내며, 이 과정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나 클릭 없이 서비스 사용이 가능해진다. 코인이지는 이를 "웹 요청과 결제를 하나의 흐름으로 통합한 전환점"이라고 표현했다.

아직 초기 단계인 x402는 시장 인지도가 낮지만, 인터넷 초창기처럼 조용한 변곡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AI 중심의 디지털 경제가 본격화되면서 스테이블코인 사용 증가, 온체인 인프라 확장, AI 에이전트 프로젝트 확산이 병행되고 있고, 이 속도는 앞으로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궁극적으로 x402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AI가 일하고 돈을 쓰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생태계를 구성하는 거대한 흐름의 중추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클릭 기반 인간 중심 인터넷에서, 자율적 결제와 운영이 가능한 AI 기반 인터넷으로의 진입이 이미 시작된 지금, x402는 그 전환을 주도하는 첫 단추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인이지는 보고서에서 앞으로 이 프로토콜이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확산되며, AI 기반 경제 모델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