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 러시아 드론 침입에 NATO 방공망 강화 'SOS'

| 연합뉴스

리투아니아가 자국 영공을 연이어 침범한 러시아 군용 드론에 대응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방공망 강화 지원을 공식 요청했다.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리투아니아는 이번 사태를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조기 대응에 나선 모양새다.

리투아니아 국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7월 28일 러시아제 무인기(드론) 한 대가 리투아니아 영공을 무단으로 침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국은 이 드론이 원래 우크라이나를 향해 발사됐으나, 우크라이나의 방공망에 의해 항로를 잃고 리투아니아 상공으로 넘어온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이후 이 드론이 군사훈련장에서 발견됐을 당시, 폭발물을 탑재하고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단순한 항로 이탈을 넘어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됐다는 점이다.

이번 사건은 리투아니아가 러시아와의 영토적 긴장선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를 다시금 상기시켰다. 실제 리투아니아는 러시아의 역외 영토인 칼리닌그라드와 벨라루스 국경에 인접해 있어 나토 동쪽 전선 중에서도 전략 요충지로 꼽힌다. 지난 1월 리투아니아는 자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를 향후 5∼6% 수준까지 대폭 늘리겠다고 밝혔던 것도 이러한 지정학적 가중치를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리투아니아는 이번 드론 사건 외에도 지난달 10일에는 벨라루스에서 발진한 러시아제 무인기가 또다시 자국 영공을 침해했다며 벨라루스 측에 설명을 요구한 바 있다. 이처럼 유사 사례가 반복되자 리투아니아는 나토에 직접 방공망 강화 지원을 요청하고, 지금 당장의 군사적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나토 역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은 케스투티스 부드리스 리투아니아 외무장관과의 통화에서 관련 사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후 나토 대변인은 "모든 나토 영토를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단호한 입장을 피력했다. 부드리스 장관 역시 소셜미디어를 통해 나토 동부 최전선의 방공 능력 강화를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나토 회원국들 사이에서 동유럽 지역 방위를 둘러싼 공동 안보 조치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리투아니아와 같은 최전방 국가들은 국방비 확대와 방공 체계 고도화를 통해 러시아와의 장기적 군사 대치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