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프랑스 정부의 '몰도바 정치 검열 시도' 거절…표현의 자유 원칙 고수

| 서지우 기자

텔레그램 공동 창업자인 파벨 두로프(Pavel Durov)가 프랑스 정보 당국으로부터 몰도바 선거 관련 콘텐츠 검열 요청을 받았다고 폭로했다. 그는 이러한 요청을 거절했으며, 프랑스 측이 법적 편의를 제안한 정황도 드러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두로프는 지난 일요일 텔레그램 채널에 글을 올려, 프랑스 정부 소속 인사들이 접근해 몰도바 선거에 관한 정치적 콘텐츠 검열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두로프에게 요청을 수용할 경우 프랑스 내 그의 법적 분쟁과 관련해 유리한 발언을 법원에 전달할 수 있다고 암시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명백한 압력이었으며 수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텔레그램팀은 두 번째 ‘문제적’ 몰도바 채널 목록을 전달받았지만, 이번에는 거의 모든 채널이 자사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었다”며 “이들 채널의 공통점은 프랑스와 몰도바 정부가 탐탁지 않게 여기는 정치적 입장을 담고 있다는 것뿐이었다. 우리는 이 요청을 거절했다”고 강조했다.

텔레그램은 오랜 기간 표현의 자유와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중시한 운영정책을 고수해왔다. 이번 사건은 이 같은 원칙이 유럽 주요 국가의 정치적 압력과 충돌한 대표적 사례로 주목된다. 특히 유럽 내 정보기관이 민간 테크 기업에 정치적 검열을 종용하면서 법적 유불리까지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해당 발언은 현재 텔레그램 사용자뿐 아니라 언론 및 국제 사회 전반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정부의 정치 개입 및 플랫폼 중립성 문제에 대한 추가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