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약가 인하 행정명령에도 제약주 급반등…왜?

| 김민준 기자

세계 제약주의 주가가 급반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약가 인하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 계획이 규제와 소송 등의 장벽에 부딪힐 것이란 전망 속에 헬스케어 업종 전반의 회복세에 베팅했다.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정부의 보건보험 기관들이 해외 국가 수준의 낮은 약가로 처방약을 구매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이번 조치로 약값이 최대 90%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지만, 해당 방안이 실현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수두룩하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월요일 장 초반까지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Truth Social)’ 게시물로 인해 글로벌 제약사의 주가는 빠르게 하락했다. 그러나 공식적인 행정명령이 발표된 뒤부터는 시장의 반응이 달라졌다. 엘리 릴리(LLY), 화이자(PFE), 애브비(ABBV), 머크(MRK), 노보노디스크(NVO)와 같은 주요 제약사는 오후 들어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고, 주가는 3~6% 사이에서 올랐다.

시티그룹은 이번 조치가 시행되기까지 상당한 법적, 제도적 난관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특히 복잡한 약가 결정 구조, 조달 계약 현황, 제약사의 반발 등을 고려하면, 행정명령의 현실화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시티 애널리스트들은 특히 “정부안에서 약가 인하의 주요 타깃이 될 것이라던 약가관리업체(PBM)에 대한 언급이 예상보다 적었다”며, 시장에 덜 공격적인 메시지를 보낸 점도 주가 반등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현재 미국에서 브랜드 의약품 가격은 주요 선진국의 3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는 리베이트 등 가격 조정 정책을 감안하더라도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약가 인하 정책은 선거를 앞두고 트럼프 진영에서 밀어붙이는 대표적인 민생 공약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업계의 반응은 신중하다. 법적 소송 가능성과 의회의 예산 편성 권한 등이 변수로 작용하며, 단기간 내 정책이 실행되기는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결국 이번 행정명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적 방향성을 드러낸 상징적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의도는 분명했지만, 실현 가능성과 효과를 둘러싸고는 여전히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Pharmaceutical 업종 전반에는 일시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듯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책 리스크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