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호실적에 뉴욕증시 급등…AI·고용지표 훈풍

| 연합뉴스

뉴욕증시가 엔비디아의 호실적과 예상보다 탄탄한 미국 고용지표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 출발했다. 인공지능 산업 전반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부각되고 있으며, 노동시장의 안정성도 투자심리를 지지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오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주요 3대 지수는 모두 상승세로 출발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5.11포인트(1.42%) 오른 46,793.88을 기록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S&P 500) 지수는 1.85% 오른 6,765.2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45% 급등한 23,116.68을 나타냈다.

시장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은 중심에는 엔비디아가 있었다. 이 회사는 회계연도 기준 3분기(8~10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2% 증가한 570억1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도 전년 대비 66% 늘어난 512억달러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인공지능 칩 수요 증가와 관련 서비스 분야의 성장에 힘입은 결과다. 특히 다음 분기 실적 전망도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면서, 같은 날 엔비디아 주가는 4% 이상 급등했다.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는 다른 대표 기술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과 메타, 테슬라 등이 나란히 2% 이상 상승하면서, 기술주 전반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이 같은 흐름은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인공지능 관련 종목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되살리고 있다.

한편 미국 노동시장도 예상을 웃도는 흐름을 보이면서 증시 상승을 더욱 뒷받침했다. 9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11만9천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였던 5만명을 크게 넘겼다. 다만 실업률은 4.4%로 예상치(4.3%)를 약간 웃돌며 2021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당장의 정책 변화보다는 시장의 기초 체력이 아직 견조하다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실업수당 관련 지표에서도 신규 청구 건수는 감소했지만, 연속 청구 건수의 증가는 다소 유의할 만한 대목이다.

이날 미국 주요 업종 전반이 상승 기조를 보였으며, 유통 대기업 월마트가 강한 실적에 힘입어 4% 이상 오르는 등 개별 종목에서도 호재가 이어졌다. 반면 실적 부진을 겪은 일부 기업 주가는 크게 하락하기도 했다. 예컨대, 배스앤바디웍스는 3분기 주요 지표가 모두 시장 전망을 밑돌면서 주가가 20% 넘게 급락했다.

국제 시장도 긍정적인 흐름을 탔다. 유럽증시는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주요 지수 모두 1% 내외의 상승률을 보였다. 국제 유가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12월 인도분 가격이 배럴당 59.90달러 수준에 거래됐다.

이 같은 흐름은 기술주와 소비주 중심으로 증시 회복세가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인공지능 분야의 실적 확대가 투자 심리를 주도하면서, 향후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이나 경기 지표의 추이에 따라 추가 상승 여지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동시장과 기업 실적이 균형 있게 뒷받침된다면 연말 랠리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