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해외 제작 영화에 '100% 관세폭탄'… 넷플릭스·디즈니 급락

| 김민준 기자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해외 제작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전격 발표하면서 넷플릭스(NFLX)와 디즈니(DIS) 등 미디어 대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콘텐츠 산업 보호를 내세우며 무역 정책의 범위를 물리적 상품을 넘어 영화 콘텐츠로 확대하고 나섰다.

현지시간 5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은 본인의 소셜미디어 계정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해외에서 제작되는 영화 전부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 근거로 “미국 영화산업이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면서, 해외 정부들이 세제 혜택 등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통해 미국의 제작사와 인력을 자국으로 빼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이를 *국가 안보 위협*이라고까지 표현했다.

이번 조치는 월트디즈니와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의 투자 계획에 적잖은 여파를 줄 것으로 보인다. 발표 직후 프리마켓에서 디즈니는 2%, 넷플릭스는 5% 가까이 하락세를 기록했다. 특히 넷플릭스를 비롯해 미국 대형 OTT 업체들은 캐나다와 영국 등에서 진행하는 대규모 해외 제작 프로젝트가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미국영화협회(Motion Picture Association)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영화 산업이 주요 국가 대부분에서 무역 흑자를 기록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속에서 미국 문화 콘텐츠가 갖는 경쟁력을 그대로 유지하려면 오히려 개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관세 적용 방식이나 대상을 명시하지 않았으며, 넷플릭스와 디즈니 측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 내 제작 인프라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이 관세 조치가 실제로 실행 가능한지 여부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대선을 앞둔 정치적 메시지일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미국에서 영화를 만들자(We want movies made in America, again!)”며 자국 중심 정책을 재차 강조했지만, 자유무역과 글로벌 제작 기조가 자리 잡은 콘텐츠 업계에서는 규제보다는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