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퇴직연금에 비트코인 허용 추진…디지털 자산 제도화 가속

| 서지우 기자

미국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401(k) 퇴직연금에 암호화폐 포함을 허용하는 행정명령 서명을 공식 확인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근로자들의 노후자금 투자 전략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며,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백악관 대변인은 25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트럼프 대통령이 미 노동부에 401(k) 등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내 대체자산 편입 제한사항을 재검토하라는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정명령에는 디지털 자산, 사모펀드, 부동산 등 다양한 대체투자 자산이 연금 포트폴리오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지침을 정비하라는 내용이 담겼다.

익명을 요청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이번 명령은 노동부 장관에게 대체자산 투자에 대한 정책 입장을 명확히 하고, 이를 연금계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암호화폐 산업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디지털 자산을 주류 금융시장에 편입하려는 정치적 접근이 더욱 힘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기존에는 고위험 자산으로 분류돼 퇴직연금에서 배제돼 왔던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 같은 코인들이, 제도권 통제 아래 투자대상으로 편입될 길이 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미국 내 401(k) 계좌는 약 6천500만 명이 가입해 있으며, 총 운용자산 규모는 7조3,000억 달러(약 1경 160조 원)에 달한다. 이번 행정명령이 현실화될 경우, 이 막대한 유동성 일부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생기면서 업계는 반색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대선 유세에서도 디지털 자산과의 친화적인 태도를 드러내며 암호화폐 유권자층에 기대감을 심은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행정명령이 정책적 상징성을 넘어 실질적으로 암호화폐 산업 성장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